금쪽같은 비뇨기, 챙길수록 행복해집니다

상상 이상의 통증 '요로결석', 체외충격파쇄석술의 진실

골드만 비뇨의학과의원 강남점

이민종 원장

비뇨의학과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질환 중의 하나가 요로결석이다. 실제로 요로결석은 비뇨의학과 입원 환자 중 25%를 차지할 정도로 굉장히 흔한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높아지는 5월부터 환자 수가 서서히 증가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국내에서 체외충격파쇄석술은 요로결석 치료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으로, 전체 결석 치료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이는 유럽이나 미국에서 이 방법이 결석 치료의 50% 미만을 차지하는 것과 대조된다. 체외충격파쇄석술이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요로결석 치료법인 만큼 간혹 환자들이 오해하는 경우가 있어 이를 바로잡는 시간을 가져보겠다. 

가장 일반적인 오해는 체외충격파쇄석술을 한 번만 받으면 모든 결석을 완전히 부수고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체외충격파쇄석술의 성공 여부는 결석의 구성, 크기, 위치 및 기타 요인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한 결석 당 평균 체외충격파 시술 횟수가 3회에 가깝다. 평균적으로 체외충격파쇄석술을 3번을 받아야 결석이 해결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쇄석술로 제거가 어려운 부위에 결석이 발생하거나, 너무 크거나 작은 결석, 혹은 다발성 결석이 발생하거나, 쇄석술로 깨지지 않는 단단한 결석이 발생한 경우 내시경 수술을 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도 체외충격파쇄석술을 3회 정도 시행했음에도 전혀 변화가 없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더 권장하기도 한다. 실제로 방사선 투과성 거대 상부 요관결석의 경우 타 의원에서 1차 쇄석 후 제거되지 않아, 본원에 내원하여 RIRS 수술을 받아 치료에 성공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모든 환자가 체외충격파쇄석술이 바로 가능한 것도 아니다. 특정 조건의 환자에게는 바로 쇄석술을 시도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출혈 경향이 있거나 아스피린과 같은 혈전 억제제를 복용하는 환자는 혈종이나 출혈 때문에 체외충격파쇄석술로 인한 합병증의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약 복용을 중단하고 쇄석술을 받아야 한다. 

인공 심장박동기를 이식한 환자, 임신 중 또는 매우 고령인 환자는 부작용 증가 가능성으로 인해 체외충격파쇄석술이 적합하지 않다. 또한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는 충격파가 더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고, 오히려 체지방에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체외충격파쇄석술의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즉, 모든 환자가 체외충격파쇄석술에 적합한 대상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체외충격파쇄석술을 둘러싼 환자들의 오해를 다뤄봤다. 아무래도 상상 이상의 고통을 주는 요로결석을 빨리 해결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오해라고 생각한다. 만약 요로결석 통증으로 고생하고 있다면, 가까운 비뇨의학과를 방문하여 적극적으로 치료받기를 권한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중장년층이 되면 필연적으로 비뇨질환을 겪게됩니다. 일상을 불편하게 만드는 비뇨기 질환에 대해 유용한 정보를 전달해 행복한 일상생활로 가는 길을 열어드립니다.

네이버배너
프렌즈배너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