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인 명의

위장내시경 검진 주기와 연령을 확립해 위암 조기 발견에 큰 기여

이상인 명의

  • 소 속
    차움의원 소화기내과, 일반내과
  • 전문분야
    소화관 운동질환, 위·대장 내시경, 위암·대장암 조기진단
주요 진료 분야는 소화관 운동질환, 위·대장 내시경, 위암·대장암 조기 진단이다.
미국 제네시병원에서 소화관 운동질환과 소화관 호르몬에 대한 연수 후 국내에서 이 분야의 선두주자로 꾸준히 연구를 이어오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소화기 질환을 전공하는 기초 및 임상 의사들의 연구 활성화와 제도 개선에도 앞장섰으며, 소화성궤양 및 위암을 비롯한 소화기 질환의 임상과 연구 업적이 인정돼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에서 내시경 전문의 자격심사위원장 및 수련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현재 위장관 계통 질환에 있어 각종 내시경 검사를 통해 암의 조기 발견에 힘쓰고 있으며, 내시경을 이용한 점막절제술과 용종제거술 등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국립암센터에서 권고한 위장내시경 검진 주기와 연령을 확립하는 데 공동으로 참여해 위암 조기 발견과 예방에
큰 기여를 했다.

명의프로필 명의 프로필

학력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원 석사

주요경력

  • 現) 차움 소화기내과 진료
  • 現) 국민연금공단 의학자문의원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병 연구소 소장 (2002 ~ 2004)
  • 영동세브란스병원 부원장 (2003 ~ 2003)
  •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부장 겸 소화기내과 주임교수 (1994 ~ 1996)
  • 미국 뉴욕주 로체스타 제네시병원 연수 (1984 1985)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교수 (1980 ~ 2013)

수상내역

  •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장 (2011)
  • 제2회 대한소화관운동학회 아스트라제네카의학상 수상 (2009)
  • 1997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올해의 교수상 (임상부문)

학회활동

  • 1996~2002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내시경전문의 수련위원장, 자격심사위원장
  • 2002~2003대한소화관운동학회 회장
  • 2003~2005대한소화기학회 이사장
  • 2006~2008아태소화기학회 윤리위원장
  • 2001~2013대한임상노인의학회 이사장
  • 2013~현재대한임상노인의학회 명예이사장
  • 2013~현재대한종합건강관리학회 고문

명의qna 명의 QnA

가장 관심 있는 분야와 업적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1. 소화관운동질환의 병태생리 및 기전연구와 치료
2. 현재 시행되고 있는 위암의 조기진단프로그램 개발 (증상이 없더라도 40세이후에는 2년마다 정기적으로 위내시경검사 받도록 권고)

환자 진료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는?

환자가 희망과 긍정적인 생각을 가질 수 있도록 설득하고 환자의 신뢰를 얻기위해 성심껏 진료하며, 최신의 가장 적절한 치료방법을 강구하도록 노력하는 자세

환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씀

1. 스트레스가 많은 병의 원인이므로 늘상 받는 스트레스를 잘 극복하는 방법을 나름대로 터득하기 바랍니다. (음악감상, 독서, 야외에서 걷기 등의 취미생활)
2. 신뢰하는 전문의사와 상의하고 가능하면 병은 전문의사에게 맡기도록 합니다.
3. 적정한 체중유지를 위해 꾸준히 운동을 하고, 골고루 먹되 과식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반드시 금연을 권합니다.

명의qna 명의 소속병원

차움의원

의원
전화 아이콘 대표번호
02-3015-5000
웹사이트 아이콘홈페이지
차움의원		 이미지

주요시설

응급실 응급실
클리닉 클리닉
종합검진센터 종합검진센터
암센터 암센터
주차시설 주차시설

차움은 현대인의 대부분이 속해있는 건강과 질병의 중간 단계인 회색지대(Grey Zone)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질병을 예방하고 조기 치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프리미엄건진센터, 13개의 외래진료과와 특화센터로 서양·동양·통합의학의 조화는 물론, 운동처방·식품치료·스킨케어·스파 등 웰니스케어까지 동서고금의 지혜와 기술력을 총동원하여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라이프를 관리해 주는 원스톱 토털 헬스케어 센터입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442(청담동 4-1)

홈
내가 알고있는 명의를 추천해주세요

같은 분야 명의 같은 분야 명의

명의 더보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