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오염이 남성 성기능 장애를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성기능 장애는 개인의 신체 건강뿐 아니라 우울증 및 불안 등 심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중국 안후이 의과대 연구팀이 평균 연령 29세 남성 5047명을 12개월간 분석했다. 연구팀은 참여자들의 거주지 근처 초미세먼지(PM2.5), 이산화질소(NO2) 등 6가지 오염물질의 평균 농도를 측정했다. 참여자들은 국제 발기기능 지수(IIEF-EF) 설문지를 작성해 스스로 성기능을 평가했다.
국제 발기기능 지수는 발기부전에 대한 일반적인 임상 평가로, 남성 성기능의 주요 네 가지 영역인 ▲발기 기능 ▲성욕 ▲성관계 만족도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된다. 점수가 낮을수록 발기부전이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며 ▲22~25는 발기부전 없음 ▲17~21은 경미한 발기부전 ▲12~16은 경증에서 중등도 발기부전 ▲8~11 중등도 발기부전 ▲5~7은 중증 발기부전에 해당한다.
분석 결과, 가장 높은 수치의 이산화질소에 노출된 남성은 발기 기능이 가장 떨어졌다. 가장 높은 수치의 초미세먼지에 노출된 남성은 그렇지 않은 남성보다 조루 문제를 겪을 확률이 높았다. 조루증은 여러 원인에 의해 사정을 지연시키지 못하고 의지와 관계없이 사정하게 되는 질환이다. 그중에서 대기 오염에 노출된 정상 BMI의 남성의 성 기능 감소가 가장 두드러졌다. 특히 담배를 피우거나 술을 마시면 성 기능이 더 감소했다.
대기 오염은 남성의 ▲정액 양 ▲정자 농도 ▲운동성 ▲정상 형태 비율 감소와 관련이 있었다. 연구팀은 대기 중 오염물질이 혈관을 수축시키는 염증 반응을 유도해 성기능을 떨어트렸다고 분석했다. 혈관이 수축돼 음경으로 향하는 혈액 흐름이 저하되면 발기를 하거나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에 최근 게재됐다.
중국 안후이 의과대 연구팀이 평균 연령 29세 남성 5047명을 12개월간 분석했다. 연구팀은 참여자들의 거주지 근처 초미세먼지(PM2.5), 이산화질소(NO2) 등 6가지 오염물질의 평균 농도를 측정했다. 참여자들은 국제 발기기능 지수(IIEF-EF) 설문지를 작성해 스스로 성기능을 평가했다.
국제 발기기능 지수는 발기부전에 대한 일반적인 임상 평가로, 남성 성기능의 주요 네 가지 영역인 ▲발기 기능 ▲성욕 ▲성관계 만족도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된다. 점수가 낮을수록 발기부전이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며 ▲22~25는 발기부전 없음 ▲17~21은 경미한 발기부전 ▲12~16은 경증에서 중등도 발기부전 ▲8~11 중등도 발기부전 ▲5~7은 중증 발기부전에 해당한다.
분석 결과, 가장 높은 수치의 이산화질소에 노출된 남성은 발기 기능이 가장 떨어졌다. 가장 높은 수치의 초미세먼지에 노출된 남성은 그렇지 않은 남성보다 조루 문제를 겪을 확률이 높았다. 조루증은 여러 원인에 의해 사정을 지연시키지 못하고 의지와 관계없이 사정하게 되는 질환이다. 그중에서 대기 오염에 노출된 정상 BMI의 남성의 성 기능 감소가 가장 두드러졌다. 특히 담배를 피우거나 술을 마시면 성 기능이 더 감소했다.
대기 오염은 남성의 ▲정액 양 ▲정자 농도 ▲운동성 ▲정상 형태 비율 감소와 관련이 있었다. 연구팀은 대기 중 오염물질이 혈관을 수축시키는 염증 반응을 유도해 성기능을 떨어트렸다고 분석했다. 혈관이 수축돼 음경으로 향하는 혈액 흐름이 저하되면 발기를 하거나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