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GLP-1 계열 비만 치료제를 투여할 수 있는 연령대가 12세 이상 청소년까지 확대되면서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특히 청소년은 성인보다 비만 치료제 부작용 발생 위험이 높아 주의해야 한다.
14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GLP-1 비만 치료제는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이면서, 체중이 60kg을 초과하는 12세 이상 청소년 환자만 사용할 수 있다. 전문의약품이기 때문에 반드시 의사로부터 비만 진단을 받아야 한다.
청소년은 성인보다 비만 치료제 부작용 발생률 또한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임상 시험 결과, 12세 이상 청소년 비만 환자는 성인에 비해 담석증·담낭염·저혈압과 같은 부작용이 더 많이 발생했다. 청소년이 허가 범위 내에서 비만 치료제를 쓰더라도 구토·설사·복통 등 위장관계 이상 반응을 포함한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청소년은 아직 몸이 다 성장하지 않은 상태여서, 영양 섭취가 부족하거나 갑자기 체중이 감소하면 성장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위장관계 부작용에 따른 탈수·급성 췌장염 등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현재 GLP-1 계열 비만 치료제는 ‘이상 사례 집중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된 상태다. 식약처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과 함께 부작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식약처 관계자는 “비만 치료제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 후 전문가의 복약 지도에 따라 허가된 범위 내에서만 사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14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GLP-1 비만 치료제는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이면서, 체중이 60kg을 초과하는 12세 이상 청소년 환자만 사용할 수 있다. 전문의약품이기 때문에 반드시 의사로부터 비만 진단을 받아야 한다.
청소년은 성인보다 비만 치료제 부작용 발생률 또한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임상 시험 결과, 12세 이상 청소년 비만 환자는 성인에 비해 담석증·담낭염·저혈압과 같은 부작용이 더 많이 발생했다. 청소년이 허가 범위 내에서 비만 치료제를 쓰더라도 구토·설사·복통 등 위장관계 이상 반응을 포함한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청소년은 아직 몸이 다 성장하지 않은 상태여서, 영양 섭취가 부족하거나 갑자기 체중이 감소하면 성장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위장관계 부작용에 따른 탈수·급성 췌장염 등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현재 GLP-1 계열 비만 치료제는 ‘이상 사례 집중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된 상태다. 식약처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과 함께 부작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식약처 관계자는 “비만 치료제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 후 전문가의 복약 지도에 따라 허가된 범위 내에서만 사용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