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생후 두 달부터 형성되는 식사, 수면, 놀이 등 행동 루틴이 이후 자녀의 비만 위험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생후 두 달부터 형성되는 식사, 수면, 놀이 등 행동 루틴이 이후 자녀의 비만 위험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 연구팀이 143쌍의 부모 자녀를 대상으로 일상 행동이 영아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부모는 영아가 태어난 지 두 달이 된 시점에 식단, 수면, 놀이, 식욕 특성 등 행동에 대한 설문지에 응답했다.

분석 결과, 생후 두 달 시점에 형성된 몇몇 행동 루틴이 생후 6개월 시점의 체중 증가를 야기했다. 체중 증가를 일으킨 행동은 ▲발달 단계와 맞지 않는 크기의 젖병 사용 ▲늦은 시각 수유 ▲아이가 늘 배고파 보인다는 생각에서 기인한 수유 습관 ▲밤 여덟 시 이후 아이 재우기 ▲밤중 두 번 이상 깸 ▲아이가 잘 때 방 TV가 켜져 있음 ▲잠이 든 뒤에야 침대에 눕힘 ▲놀이시간 부족 ▲아이와 놀이 중 스마트폰·TV 사용이었다. 해당되는 행동 수가 많을수록 영아 BMI(체질량지수)와 체중-신장 z점수가 높아졌다. 체중-신장 z 점수는 아기의 체중이 같은 키와 성별의 다른 아기들과 비교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 나타낸 지표로 점수가 높을수록 또래 평균보다 무겁다는 의미다. 

연구를 주도한 이닝 마 박사는 “음식 섭취, 수면, 신체활동과 관련된 양육 방식은 향후 아이들의 체중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체중 증가 위험을 높이는 행동을 식별하는 것이 아이들의 조기 비만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연구에 참여한 재니퍼 새비지 윌리엄스 박사는 “생후 두 달만 지나도 추후 아기의 성장 경로를 좌우할 수 있는 수유, 수면, 놀이 등의 행동 패턴이 나타난다”며 “영아 발달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부모가 일찍부터 건강한 루틴을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를 위해 ‘반응적 양육’을 실천할 것을 권고했다. 반응적 양육은 배고픔, 피곤함 등 아이의 반응을 민감하게 알아차리고 즉시 적절한 방식으로 대응하는 양육법이다. 반응적 양육이 아이가 배고픔, 포만감 신호를 스스로 느끼고 조절하는 능력을 길러주며 적절한 수면, 놀이 리듬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설명이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자마 오픈 네트워크(JAMA Network Open)’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