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요도(소변이 나오는 길)로 배출된 기생충인 줄 알고 병원 검사를 받았지만, 변기에서 서식 중인 지렁인 것으로 확인된 황당한 환자 사례가 해외 저널에 실렸다.
중국 저장대학교 의과대학 진화병원 의료진은 58세 여성 A씨가 6개월 전부터 변기에서 반복적으로 기생충이 발견된다며 자신의 소변을 통해 배출되는 것 같다고 호소했다고 밝혔다. A씨는 지금껏 자신의 소변에서 벌레가 4번 배출됐고, 한 번에 한 마리씩 배출됐다고 했다.
여성이 가져온 벌레를 관찰해보니, 원통형에 길이는 약 25~35mm, 너비는 1~2mm였으며 피와 같은 붉은색을 띠고 있었다. 의료진은 ‘거대 신장충’으로 불리는 다이옥토파이마이아시스(Dioctophyme renale) 유충을 의심했다.
의료진은 “소변으로 배출되는 기생충 종은 많지 않다”면서도 “그럼에도 배출될 수 있는 주요 기생충 종은 거대 신장충, 요충, 흡충, 사상충 등”이라고 했다. 그중 거대 신장충이 가장 흔하며 색은 혈액과 유사한 붉은색이고, 지렁이와 모양이 비슷하며, 원통형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A씨의 혈액검사, 소변검사, 대변검사 결과, 모두 이상이 없고 기생충 알도 보이지 않았다.
이에 의료진은 A씨 집 변기에서 또 다시 발견된 벌레를 병원으로 가져와 자세히 관찰했다. 그 결과 벌레 표면 형태가 인간에게서 발견되는 기생충의 형태와 다른 것이 확인됐다. 결과적으로 의료진은 벌레가 토양 속 지렁이에서 유래했다고 판단했다. 의료진은 “지렁이 유충이 배수관을 통해 변기 안으로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며 “실제 지렁이가 인체내 기생충으로 잘못 판단된 사례가 의학 저널에도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다”고 했다.
의료진은 “A씨 사례처럼 소변에서 발견되는 모든 벌레가 기생충 감염을 뜻하는 건 아니다”라며 “현미경 등을 활용한 체계적인 평가를 하면 불필요한 기생충 검사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사례는 ‘임상사례보고저널’에 지난 4일 게재됐다.
중국 저장대학교 의과대학 진화병원 의료진은 58세 여성 A씨가 6개월 전부터 변기에서 반복적으로 기생충이 발견된다며 자신의 소변을 통해 배출되는 것 같다고 호소했다고 밝혔다. A씨는 지금껏 자신의 소변에서 벌레가 4번 배출됐고, 한 번에 한 마리씩 배출됐다고 했다.
여성이 가져온 벌레를 관찰해보니, 원통형에 길이는 약 25~35mm, 너비는 1~2mm였으며 피와 같은 붉은색을 띠고 있었다. 의료진은 ‘거대 신장충’으로 불리는 다이옥토파이마이아시스(Dioctophyme renale) 유충을 의심했다.
의료진은 “소변으로 배출되는 기생충 종은 많지 않다”면서도 “그럼에도 배출될 수 있는 주요 기생충 종은 거대 신장충, 요충, 흡충, 사상충 등”이라고 했다. 그중 거대 신장충이 가장 흔하며 색은 혈액과 유사한 붉은색이고, 지렁이와 모양이 비슷하며, 원통형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A씨의 혈액검사, 소변검사, 대변검사 결과, 모두 이상이 없고 기생충 알도 보이지 않았다.
이에 의료진은 A씨 집 변기에서 또 다시 발견된 벌레를 병원으로 가져와 자세히 관찰했다. 그 결과 벌레 표면 형태가 인간에게서 발견되는 기생충의 형태와 다른 것이 확인됐다. 결과적으로 의료진은 벌레가 토양 속 지렁이에서 유래했다고 판단했다. 의료진은 “지렁이 유충이 배수관을 통해 변기 안으로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며 “실제 지렁이가 인체내 기생충으로 잘못 판단된 사례가 의학 저널에도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다”고 했다.
의료진은 “A씨 사례처럼 소변에서 발견되는 모든 벌레가 기생충 감염을 뜻하는 건 아니다”라며 “현미경 등을 활용한 체계적인 평가를 하면 불필요한 기생충 검사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사례는 ‘임상사례보고저널’에 지난 4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