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의 건강]

개그맨 유상무(45)의 아내이자 작곡가로 활동하고 있는 김연지(39)가 다이어트 전후 사진을 공개했다.
지난 9월 22일 김연지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12kg 감량 후 부작용”이라는 멘트와 함께 영상을 게재했다. 그가 공개한 영상에는 등이 훤히 보이는 상의와 짧은 하의를 매치했다. 그는 “근거 없는 자신감이 너무 심해졌다”며 “딱 마흔까지만 이렇게 입고 다니겠다”고 말했다. 유상무 역시 “살이 빠졌을 뿐인데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된 것 같다”고 했다.
앞서 김연지는 자신의 다이어트 비법과 관련해 “콩물과 병아리콩을 즐겨 먹었다”며 “한창 감량했던 시기에는 1일 1식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1일 1식 때는 하루 종일 쫄쫄 굶다가 저녁 한 끼 먹었다”며 “먹고 싶은 메뉴로, 대신 양 조절해서 먹었다”고 했다.
◇콩물과 병아리콩, 단백질 풍부한 고영양 식품
지난 9월 22일 김연지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12kg 감량 후 부작용”이라는 멘트와 함께 영상을 게재했다. 그가 공개한 영상에는 등이 훤히 보이는 상의와 짧은 하의를 매치했다. 그는 “근거 없는 자신감이 너무 심해졌다”며 “딱 마흔까지만 이렇게 입고 다니겠다”고 말했다. 유상무 역시 “살이 빠졌을 뿐인데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된 것 같다”고 했다.
앞서 김연지는 자신의 다이어트 비법과 관련해 “콩물과 병아리콩을 즐겨 먹었다”며 “한창 감량했던 시기에는 1일 1식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1일 1식 때는 하루 종일 쫄쫄 굶다가 저녁 한 끼 먹었다”며 “먹고 싶은 메뉴로, 대신 양 조절해서 먹었다”고 했다.
◇콩물과 병아리콩, 단백질 풍부한 고영양 식품
김연지가 다이어트 식품으로 꼽은 콩물은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이다. 기본적으로 콩물의 주재료인 콩은 성분의 약 40%가 단백질로 이뤄져 있다.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은 포만감을 유발해 이후 섭취량을 줄인다. 특히 콩을 삶고 갈아 만든 콩물은 만들 때 콩 내부 세포벽이 깨져 영양소 흡수율도 더 높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의 연구에서 삶은 콩은 조리하지 않은 콩보다 단백질 함량이 6~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병아리콩은 일반 콩보다 단백질, 칼슘, 식이섬유가 더 많이 들어 있는 고영양 음식이다. 영국 킹스칼리런던대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병아리콩 가루가 든 빵을 먹은 사람의 혈당 반응이 일반 빵을 먹은 사람의 혈당 반응에 비해 40% 낮았다.
◇1일 1식, 다이어트에 도움 되지만 부작용 위험도
김연지가 실천한 1일 1식의 핵심은 공복을 유지해서 인슐린 분비를 조절하면 살을 빼는 방법이다. 평소 우리 몸은 지방을 생존에 필요한 핵심 요소로 인식해 당을 지방보다 먼저 연소시킨다. 하지만 혈당 조절 호르몬인 인슐린 수치가 낮아지면 우리 몸은 당 대신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한다. 공복 상태를 유지하면 당을 섭취하지 않아 혈당이 낮아지고, 인슐린 수치도 낮아져서 지방이 먼저 빠르게 연소한다.
다만, 하루에 한 끼만 먹으면 생체 리듬이 깨져 성장 호르몬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을 수 있다. 성장 호르몬이 부족하면 근육량, 골밀도, 활력, 에너지 대사율이 떨어지는 부작용이 생긴다. 전 서울아산병원 내과 교수이자 내분비내과 전문의 우창윤 교수는 헬스조선과의 인터뷰에서 “비만이고, 체성분에서 근육량이 충분한 경우라면 1일 1식이 인슐린 저항성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근육량이 적은 경우라면 근육 손실이 촉진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병아리콩은 일반 콩보다 단백질, 칼슘, 식이섬유가 더 많이 들어 있는 고영양 음식이다. 영국 킹스칼리런던대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병아리콩 가루가 든 빵을 먹은 사람의 혈당 반응이 일반 빵을 먹은 사람의 혈당 반응에 비해 40% 낮았다.
◇1일 1식, 다이어트에 도움 되지만 부작용 위험도
김연지가 실천한 1일 1식의 핵심은 공복을 유지해서 인슐린 분비를 조절하면 살을 빼는 방법이다. 평소 우리 몸은 지방을 생존에 필요한 핵심 요소로 인식해 당을 지방보다 먼저 연소시킨다. 하지만 혈당 조절 호르몬인 인슐린 수치가 낮아지면 우리 몸은 당 대신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한다. 공복 상태를 유지하면 당을 섭취하지 않아 혈당이 낮아지고, 인슐린 수치도 낮아져서 지방이 먼저 빠르게 연소한다.
다만, 하루에 한 끼만 먹으면 생체 리듬이 깨져 성장 호르몬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을 수 있다. 성장 호르몬이 부족하면 근육량, 골밀도, 활력, 에너지 대사율이 떨어지는 부작용이 생긴다. 전 서울아산병원 내과 교수이자 내분비내과 전문의 우창윤 교수는 헬스조선과의 인터뷰에서 “비만이고, 체성분에서 근육량이 충분한 경우라면 1일 1식이 인슐린 저항성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근육량이 적은 경우라면 근육 손실이 촉진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