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틀니를 모르고 삼켰다가 장이 막히는 ‘장폐색’이 생겨 수술까지 받은 50대 남성 사례가 해외 저널에 실렸다.
튀니지 튀니스 의대 의료진이 52세 남성 A씨가 일주일 전부터 배꼽 아래 복통, 구토, 복부 팽만감, 소변 안 나옴 등의 증상으로 응급실을 찾았다고 밝혔다.
검사 결과, 몸에 염증이 높아진 상태였고 복부 CT촬영에서 소장이 막힌 것이 확인됐다. 이에 의료진은 수술이 필요하다고 판단, 배를 열어 내부를 관찰했고 장에서 이물질이 나왔다. 틀니였다. 한편, A씨는 15년 전 방광암으로 브리커 요로 전환술(Bricker urinary diversion)을 받은 바 있었다. 브리커 요로 전환술은 장의 일부를 사용해 방광을 거치지 않고 소변이 몸 밖으로 나갈 수 있는 경로를 만드는 수술이다. 그런데 A씨는 수술로 만든 소변 길도 심하게 압박된 상태로 소변이 나오지 않는 증상이 동반됐다. 다행히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의 수술 치료 후 배변, 배뇨 증상은 모두 정상으로 회복돼 환자는 합병증 없이 5일 후 퇴원했다.
튀니스 의대 의료진은 “성인의 이물질 삼킴 사고 중 4~18%는 틀니 삼킴이라는 보고가 있다”며 “고령의 나이, 잘 맞지 않거나 부러진 틀니 착용, 안면 외상, 정신과적 질환, 알코올 중독, 약물 과다 복용, 전신 마취 등이 틀니 삼킴의 원인으로 보고된다”고 설명했다.
틀니 등 치과 보철물을 삼키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장폐색, 식도 천공(구멍)뿐 아니라 내부 출혈, 농양 형성 등이 생길 수 있고 드물게는 흡인, 패혈증(염증이 전신으로 퍼지는 증상) 등으로 이어져 사망할 위험도 있다.
의료진은 “고령자나 인지장애가 있는 환자는 틀니 삼킴 사고가 더욱 쉽게 일어날 수 있는 고위험군”이라며 “이런 사람은 치과 보철물을 주의해서 쓰고 의사들 역시 철저한 예방 교육을 해야 한다”고 했다.
이 사례는 ‘국제외과사례보고저널’ 10월호에 게재됐다.
튀니지 튀니스 의대 의료진이 52세 남성 A씨가 일주일 전부터 배꼽 아래 복통, 구토, 복부 팽만감, 소변 안 나옴 등의 증상으로 응급실을 찾았다고 밝혔다.
검사 결과, 몸에 염증이 높아진 상태였고 복부 CT촬영에서 소장이 막힌 것이 확인됐다. 이에 의료진은 수술이 필요하다고 판단, 배를 열어 내부를 관찰했고 장에서 이물질이 나왔다. 틀니였다. 한편, A씨는 15년 전 방광암으로 브리커 요로 전환술(Bricker urinary diversion)을 받은 바 있었다. 브리커 요로 전환술은 장의 일부를 사용해 방광을 거치지 않고 소변이 몸 밖으로 나갈 수 있는 경로를 만드는 수술이다. 그런데 A씨는 수술로 만든 소변 길도 심하게 압박된 상태로 소변이 나오지 않는 증상이 동반됐다. 다행히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의 수술 치료 후 배변, 배뇨 증상은 모두 정상으로 회복돼 환자는 합병증 없이 5일 후 퇴원했다.
튀니스 의대 의료진은 “성인의 이물질 삼킴 사고 중 4~18%는 틀니 삼킴이라는 보고가 있다”며 “고령의 나이, 잘 맞지 않거나 부러진 틀니 착용, 안면 외상, 정신과적 질환, 알코올 중독, 약물 과다 복용, 전신 마취 등이 틀니 삼킴의 원인으로 보고된다”고 설명했다.
틀니 등 치과 보철물을 삼키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장폐색, 식도 천공(구멍)뿐 아니라 내부 출혈, 농양 형성 등이 생길 수 있고 드물게는 흡인, 패혈증(염증이 전신으로 퍼지는 증상) 등으로 이어져 사망할 위험도 있다.
의료진은 “고령자나 인지장애가 있는 환자는 틀니 삼킴 사고가 더욱 쉽게 일어날 수 있는 고위험군”이라며 “이런 사람은 치과 보철물을 주의해서 쓰고 의사들 역시 철저한 예방 교육을 해야 한다”고 했다.
이 사례는 ‘국제외과사례보고저널’ 10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