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께 보내는 편지>

암은 잘못된 입에서 시작해 환자를 고통스럽게 할 때가 많습니다. 또 시작뿐만이 아니라 입에서 나오는 잘못된 말을 통해 더욱 나빠지기도 합니다. 환자 앞에서 말조심해야 하는 이유는, 조그만 부주의가 환자들의 의지를 꺾어 놓기 때문입니다. 가끔 주변인들이 위로라고 하는 말에 오히려 마음에 깊은 상처를 받기도 합니다.
“너 말기암의 고통이 얼마나 심한지 아니? 말도 못 한대…. 불쌍해서 어떡하니?”
“고통이 엄청나다고 하더라. 그래도 너라면 할 수 있을 거야.”
‘너라면 할 수 있다’는 말은 희망스러운 말이지만, 환자는 그 희망을 듣기 전에 고통이 엄청나다는 말에 더 주의를 빼앗기고 얽매이게 됩니다. 심지어 얼마나 아플지는 미리부터 걱정하고 두려워하다 자살을 기도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입니다.
“왜 하필 내가 암에 걸렸을까? 암에 걸렸으니 나는 어차피 죽을 건데…. 어차피 죽는 거라면 고통 없이 죽고 싶어.”
자포자기하면 이런 생각을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 환자가 가지는 고통에 대한 공포는 보호자의 상상 이상입니다. 암에 걸린 환자가 고통에 대해 공포감에 빠지는 가장 큰 이유는, 주변 사람들에게 들은 이야기 때문입니다.
“누구누구는 수술 잘못되어서 죽었대, 너도 조심해. 네 병은 수술하다가 큰일 당할 수도 있대!”
“내가 보기엔 네 의사도 별 볼일 없어 보인다. 어떻게 너는 이런 곳에 입원했니?”
이런 식으로 의료진을 의심하거나 비하하는 말도 곤란합니다. 목숨이 왔다 갔다 하는 절체절명의 순간인 만큼, 환자들은 귀가 얇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당장 병원을 옮길 게 아니라면, 이런 대화는 환자가 의사를 불신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암 치료와 투병은 의사, 환자, 보호자가 서로 위하고 격려하며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돌봐야 합니다. 서로를 믿고 의지하지 않으면 좋은 결과를 얻기 힘들지요. 환자의 치료를 위해 함께 그려 가는 종합 예술 작업이자 합작입니다.
만약 암 환자를 병문안하게 된다면 환자와 어떤 말을 할지 미리 생각한 다음에 대화하는 게 좋습니다. 만약 대화가 이상한 방향으로 흘러가면 보호자가 가운데 끼어들어 끊어버리도록 하고, 방문자에게 미리 환자의 상태나 심리를 설명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무엇보다 환자에게 가장 금물인 말은 ‘부정적이고, 비관적이며, 용기를 잃게 하는 저주와 같은 말’입니다. 이 말은 불행하게도 환자에게 가장 힘을 북돋워 줘야 할 가족이나 친구와 같이 가까운 사람이 많이 합니다.
“당신이 그렇게 살았으니까 지금 벌을 받는 거야!”
“이렇게 된 건 다 당신 탓이야!”
가끔 이렇게 극단적으로 쏘아붙이는 보호자가 있습니다. 그러나 환자는 심판자, 정확한 분석가, 바른 판단을 하는 재판관을 원하는 게 아닙니다. 지금의 자신을 격려하고 경청해주고, 용기를 주는 따뜻한 마음을 원합니다.
남편이 암에 걸렸을 때 간병하는 건 대부분 아내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가부장제로 인해 우리나라 여성들에게 한이 많은 편이다 보니, 살면서 속상했던 것을 누워 있는 환자에게 퍼붓게 되는 겁니다. 간혹 병원에서 언성을 높이며 싸우는 일도 있습니다.
보호자들의 말을 들어 보면, 징글징글하다 싶을 정도로 환자가 속을 썩인 경우가 많습니다. 가족들을 괴롭히거나, 수십 년 동안 바람을 피우며 조강지처의 가슴에 대못을 박는 등 쉽게 용서하지 못할 짓을 저지른 경우가 많았습니다. 보호자들의 한 맺힌 심정을 이해하지는 못하는 바는 아니지만, 길게 봤을 때는 결국 용서하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환자를 위해서만이 아니라, 보호자 자신을 위해서 더욱 그렇게 하는 게 좋습니다. 용서하고 간병을 잘해야 나중에 후회가 남지 않습니다.
인간의 마음이란 참으로 알 수가 없어서, 아무리 강철 같은 마음으로 가득 차 있더라도 어느 순간 균열을 일으키며 서서히 녹을 때가 있습니다. 그때 후회의 눈물을 흘려도 이미 늦었을 수도 있습니다. 특히 살날이 얼마 남지 않은 환자일수록 서로 용서하고 마음을 풀어 응어리가 남지 않도록 하는 게 좋습니다. 보내는 순간까지 서로 증오하면서 보내면, 보내고 나서도 자신의 가슴에는 미움이 남게 됩니다. 미움은 남은 사람의 인생에도 도움이 될 리 없습니다.
“그동안 내가 잘못을 많이 했는데 고마워요.”
“그동안 한 짓을 생각하면 밉지만, 그래도 용서해요.”
물론 끝내 서로 용서하지 못하고 헤어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환자는 환자대로 “너는 다음에 잘 죽을 줄 아느냐”며 증오를 남기고 가기도 합니다. 환자가 세상을 떠나더라도 그가 남긴 증오의 말들이 남아서 귓가를 계속 맴돌게 될지도 모를 일입니다.
환자나 보호자, 그리고 방문자들이 해야 하는 말은 따뜻한 사랑의 말, 위로와 격려가 되는 말, 힘이 나게 하는 축복의 말입니다. 환자 앞에서는 많이 말하기보다는 마음을 가다듬고 열심히 들어 주는 게 좋습니다. 만약 꼭 말을 해야 한다면 필요한 말을 하세요.
은혜로운 말의 씨앗을 잘 뿌려야 좋은 열매를 맺습니다. 부주의하거나 미움이 박힌 말은 서로에게 상처를 입힐 뿐이라는 걸 언제가 기억하면 좋겠습니다. 환자는 오늘도 소중한 당신에게 힘이 되는 말을 꼭 듣고 싶어 합니다.
오늘도 사랑하고 축복합니다!
“너 말기암의 고통이 얼마나 심한지 아니? 말도 못 한대…. 불쌍해서 어떡하니?”
“고통이 엄청나다고 하더라. 그래도 너라면 할 수 있을 거야.”
‘너라면 할 수 있다’는 말은 희망스러운 말이지만, 환자는 그 희망을 듣기 전에 고통이 엄청나다는 말에 더 주의를 빼앗기고 얽매이게 됩니다. 심지어 얼마나 아플지는 미리부터 걱정하고 두려워하다 자살을 기도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입니다.
“왜 하필 내가 암에 걸렸을까? 암에 걸렸으니 나는 어차피 죽을 건데…. 어차피 죽는 거라면 고통 없이 죽고 싶어.”
자포자기하면 이런 생각을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 환자가 가지는 고통에 대한 공포는 보호자의 상상 이상입니다. 암에 걸린 환자가 고통에 대해 공포감에 빠지는 가장 큰 이유는, 주변 사람들에게 들은 이야기 때문입니다.
“누구누구는 수술 잘못되어서 죽었대, 너도 조심해. 네 병은 수술하다가 큰일 당할 수도 있대!”
“내가 보기엔 네 의사도 별 볼일 없어 보인다. 어떻게 너는 이런 곳에 입원했니?”
이런 식으로 의료진을 의심하거나 비하하는 말도 곤란합니다. 목숨이 왔다 갔다 하는 절체절명의 순간인 만큼, 환자들은 귀가 얇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당장 병원을 옮길 게 아니라면, 이런 대화는 환자가 의사를 불신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암 치료와 투병은 의사, 환자, 보호자가 서로 위하고 격려하며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돌봐야 합니다. 서로를 믿고 의지하지 않으면 좋은 결과를 얻기 힘들지요. 환자의 치료를 위해 함께 그려 가는 종합 예술 작업이자 합작입니다.
만약 암 환자를 병문안하게 된다면 환자와 어떤 말을 할지 미리 생각한 다음에 대화하는 게 좋습니다. 만약 대화가 이상한 방향으로 흘러가면 보호자가 가운데 끼어들어 끊어버리도록 하고, 방문자에게 미리 환자의 상태나 심리를 설명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무엇보다 환자에게 가장 금물인 말은 ‘부정적이고, 비관적이며, 용기를 잃게 하는 저주와 같은 말’입니다. 이 말은 불행하게도 환자에게 가장 힘을 북돋워 줘야 할 가족이나 친구와 같이 가까운 사람이 많이 합니다.
“당신이 그렇게 살았으니까 지금 벌을 받는 거야!”
“이렇게 된 건 다 당신 탓이야!”
가끔 이렇게 극단적으로 쏘아붙이는 보호자가 있습니다. 그러나 환자는 심판자, 정확한 분석가, 바른 판단을 하는 재판관을 원하는 게 아닙니다. 지금의 자신을 격려하고 경청해주고, 용기를 주는 따뜻한 마음을 원합니다.
남편이 암에 걸렸을 때 간병하는 건 대부분 아내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가부장제로 인해 우리나라 여성들에게 한이 많은 편이다 보니, 살면서 속상했던 것을 누워 있는 환자에게 퍼붓게 되는 겁니다. 간혹 병원에서 언성을 높이며 싸우는 일도 있습니다.
보호자들의 말을 들어 보면, 징글징글하다 싶을 정도로 환자가 속을 썩인 경우가 많습니다. 가족들을 괴롭히거나, 수십 년 동안 바람을 피우며 조강지처의 가슴에 대못을 박는 등 쉽게 용서하지 못할 짓을 저지른 경우가 많았습니다. 보호자들의 한 맺힌 심정을 이해하지는 못하는 바는 아니지만, 길게 봤을 때는 결국 용서하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환자를 위해서만이 아니라, 보호자 자신을 위해서 더욱 그렇게 하는 게 좋습니다. 용서하고 간병을 잘해야 나중에 후회가 남지 않습니다.
인간의 마음이란 참으로 알 수가 없어서, 아무리 강철 같은 마음으로 가득 차 있더라도 어느 순간 균열을 일으키며 서서히 녹을 때가 있습니다. 그때 후회의 눈물을 흘려도 이미 늦었을 수도 있습니다. 특히 살날이 얼마 남지 않은 환자일수록 서로 용서하고 마음을 풀어 응어리가 남지 않도록 하는 게 좋습니다. 보내는 순간까지 서로 증오하면서 보내면, 보내고 나서도 자신의 가슴에는 미움이 남게 됩니다. 미움은 남은 사람의 인생에도 도움이 될 리 없습니다.
“그동안 내가 잘못을 많이 했는데 고마워요.”
“그동안 한 짓을 생각하면 밉지만, 그래도 용서해요.”
물론 끝내 서로 용서하지 못하고 헤어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환자는 환자대로 “너는 다음에 잘 죽을 줄 아느냐”며 증오를 남기고 가기도 합니다. 환자가 세상을 떠나더라도 그가 남긴 증오의 말들이 남아서 귓가를 계속 맴돌게 될지도 모를 일입니다.
환자나 보호자, 그리고 방문자들이 해야 하는 말은 따뜻한 사랑의 말, 위로와 격려가 되는 말, 힘이 나게 하는 축복의 말입니다. 환자 앞에서는 많이 말하기보다는 마음을 가다듬고 열심히 들어 주는 게 좋습니다. 만약 꼭 말을 해야 한다면 필요한 말을 하세요.
은혜로운 말의 씨앗을 잘 뿌려야 좋은 열매를 맺습니다. 부주의하거나 미움이 박힌 말은 서로에게 상처를 입힐 뿐이라는 걸 언제가 기억하면 좋겠습니다. 환자는 오늘도 소중한 당신에게 힘이 되는 말을 꼭 듣고 싶어 합니다.
오늘도 사랑하고 축복합니다!
✔ 암 극복을 위한 필수 지침, 아미랑
암으로 지친 마음 달래는 힐링 레터부터 극복한 이들의 노하우까지!
https://band.us/@amirang
↑밴드 가입하면 모두 무료로 확인 가능
암으로 지친 마음 달래는 힐링 레터부터 극복한 이들의 노하우까지!
https://band.us/@amirang
↑밴드 가입하면 모두 무료로 확인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