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망막은 눈에 보이는 사물을 뇌신경에 전달하는 역할을 해 시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대표적인 망막질환으로는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망막정맥폐쇄증이 있다. 이외에도 치료시기를 놓치면 시력 상실의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한 망막박리, 망막열공, 황반원공에 대해 한길안과병원 안자영 진료과장, 노훈 진료과장과 함께 알아봤다.
망막박리는 발견 즉시 치료해야 한다. 치료가 늦으면 최종 시력이 떨어지고 심각하면 실명까지 이를 수 있다. 증상으로는 실, 거미줄, 날파리 같은 것이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는 비문증이 생긴다. 증상이 나타나면 세극등, 안저검사, 안저촬영 등을 통해 빠른 진단과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망막이 떨어진 범위가 크지 않으면 레이저광응고술을 통해 진행을 막을 수 있다. 범위가 크다면 수술적 치료가 불가피하다. 눈에 작은 구멍을 뚫어 망막을 잡아당기는 유리체를 제거하는 유리체절제술이나, 밴드를 사용해 눈 바깥을 눌러 떨어진 망막을 원래 위치로 밀어 넣는 공막돌륭술을 시행한다.
눈 속에는 젤리 성분의 투명한 유리체가 있다. 망막과 붙어 있던 유리체는 나이가 들면 크기가 줄어들면서 떨어진다. 이 때, 유리체가 떨어지며 망막이 찢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망막열공이라고 한다. 노화가 주된 원인이지만 눈을 세게 부딪히거나 고도 근시, 가족력이 있을 땐 위험성이 높아진다. 망막박리와 같이 비문증이 나타나고 빛이 번쩍거리는 광시증이 발생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망막이 찢어진 위치에 혈관이 함께 손상되면 유리체 출혈이 생길 수 있다. 망막열공을 조기에 발견하면 레이저를 통해 치료가 가능하다. 찢어진 망막이 벌어져 망막박리로 진행하는 것을 막아준다.
황반원공은 시력에 가장 중요한 황반부 가운데 구멍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갑작스러운 시력 저하와 함께 시야 중심에 검은 점이 보이거나 사물이 휘어져 보이는 변시증이 나타난다. 황반원공은 수술이 필수적이다. 유리체를 제거하고 구멍을 메우는 과정을 거친 후 수술용 가스를 주입한다. 수술 후에는 앉아서 머리를 숙이거나 엎드린 자세를 당분간 유지해야 한다. 황반원공은 질환이 발생한 기간, 수술 전 시력, 크기 등에 따라 수술 예후가 달라진다. 빠른 진단과 수술이 중요하며 수술 후에도 다른 한 쪽 눈에 황반원공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기적인 안과 검사가 권장된다.
망막박리는 발견 즉시 치료해야 한다. 치료가 늦으면 최종 시력이 떨어지고 심각하면 실명까지 이를 수 있다. 증상으로는 실, 거미줄, 날파리 같은 것이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는 비문증이 생긴다. 증상이 나타나면 세극등, 안저검사, 안저촬영 등을 통해 빠른 진단과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망막이 떨어진 범위가 크지 않으면 레이저광응고술을 통해 진행을 막을 수 있다. 범위가 크다면 수술적 치료가 불가피하다. 눈에 작은 구멍을 뚫어 망막을 잡아당기는 유리체를 제거하는 유리체절제술이나, 밴드를 사용해 눈 바깥을 눌러 떨어진 망막을 원래 위치로 밀어 넣는 공막돌륭술을 시행한다.
눈 속에는 젤리 성분의 투명한 유리체가 있다. 망막과 붙어 있던 유리체는 나이가 들면 크기가 줄어들면서 떨어진다. 이 때, 유리체가 떨어지며 망막이 찢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망막열공이라고 한다. 노화가 주된 원인이지만 눈을 세게 부딪히거나 고도 근시, 가족력이 있을 땐 위험성이 높아진다. 망막박리와 같이 비문증이 나타나고 빛이 번쩍거리는 광시증이 발생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망막이 찢어진 위치에 혈관이 함께 손상되면 유리체 출혈이 생길 수 있다. 망막열공을 조기에 발견하면 레이저를 통해 치료가 가능하다. 찢어진 망막이 벌어져 망막박리로 진행하는 것을 막아준다.
황반원공은 시력에 가장 중요한 황반부 가운데 구멍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갑작스러운 시력 저하와 함께 시야 중심에 검은 점이 보이거나 사물이 휘어져 보이는 변시증이 나타난다. 황반원공은 수술이 필수적이다. 유리체를 제거하고 구멍을 메우는 과정을 거친 후 수술용 가스를 주입한다. 수술 후에는 앉아서 머리를 숙이거나 엎드린 자세를 당분간 유지해야 한다. 황반원공은 질환이 발생한 기간, 수술 전 시력, 크기 등에 따라 수술 예후가 달라진다. 빠른 진단과 수술이 중요하며 수술 후에도 다른 한 쪽 눈에 황반원공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기적인 안과 검사가 권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