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펫
가렵다고 말 못하니 머리 ‘도리도리’… 강아지 귓병 신호! [멍멍냥냥]
이해림 기자 | 홍주영 인턴기자
입력 2025/04/22 11:07
머리를 흔드는 것은 강아지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행동이다. 하지만 이런 행동이 반복된다면 한 번쯤 강아지에게 귓병이 있진 않은지 의심해봐야 한다. 귓병이 생긴 강아지는 이물감과 가려움 때문에 머리를 자주 털고 귀를 긁는다. 강아지가 별 뜻 없이 고개를 흔드는 줄 알고 방치하면 귓병이 심해질 수 있다.
강아지는 귀 내부가 ‘ㄴ’자 구조다. 귀지와 세균을 배출하기 어려워 귓병에 취약하다. 코커 스패니얼은 귀가 처져서 귓구멍이 귀에 덮여 있고, 귀지 샘이 다른 개에 비해 2~3배가량 많아 귓병이 특히 잘 생긴다. 귓속에 털이 많은 푸들, 비숑, 시츄 등도 마찬가지다. 강아지 귓병으로는 외이염, 외이도염, 중이염, 내이염, 귀 혈종(귓바퀴에 혈액이 고여 부풀어 오르는 질환) 등이 대표적이다.
강아지가 평소와 다르게 지나치게 머리를 흔든다면, 귀를 한번 살펴보자. ▲귀에서 악취가 나는 경우 ▲귀에서 열감이 느껴지는 경우 ▲귀지의 양이 늘어난 경우 ▲귀의 모양이 처친 경우라면 귓병에 걸렸을 확률이 높다. 만약 귀 부근을 건드릴 때 강아지가 피하거나 아파하면 귓병 진행이 많이 된 상태다. 검은 귀지가 보인다면 귀 진드기를 의심해볼 수 있다.
귓병이 조금이라도 의심되면 동물병원에 방문해 검진을 받아야 한다. 귓병은 병원에서 치료가 끝났다고 할 때까지 통원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증상에 따라 다르지만 치료 시간은 대개 3주 정도다. 치료가 끝났다고 해도 안심하긴 금물이다. 귓병은 면역력이 떨어지거나 환경이 좋지 못했을 때 금방 재발하기 때문에 평생 관리해줘야 한다.
따라서, 귓병을 예방하고 재발을 방지하려면 평소 올바른 방법으로 귀 청소를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귀 청소는 귀지를 닦아내는 것이 아니라 ‘녹여낸다’는 느낌으로 한다. 먼저, 귀 세정제가 귀 밖으로 흘러내릴 정도로 부어준다. 그다음, 귓구멍을 부드러운 화장 솜, 탈지면 등으로 막은 뒤 귀를 위아래로 흔들며 부드럽게 마사지해준다. 그러면 세정액이 귀지를 녹여 귓속에서 쩍쩍 소리가 난다. 어느 정도 지나면 귀를 막은 화장 솜을 꺼낸 뒤, 새 화장솜으로 귀 바깥을 가볍게 훑어준다.
면봉 사용은 금물이다. 면봉으로 귀 청소를 해주려다 오히려 귀지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깊숙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귀털 제거도 함부로 하지 않도록 한다. 귀털 제거를 한 자리에 상처가 나 만성 귓병이 생길 수 있다. 귀털은 털이 염증을 덮어 상태를 악화시키거나 귀털로 인해 분비물이 배출되지 않을 경우에만 제거해주는 것이 좋다.
강아지는 귀 내부가 ‘ㄴ’자 구조다. 귀지와 세균을 배출하기 어려워 귓병에 취약하다. 코커 스패니얼은 귀가 처져서 귓구멍이 귀에 덮여 있고, 귀지 샘이 다른 개에 비해 2~3배가량 많아 귓병이 특히 잘 생긴다. 귓속에 털이 많은 푸들, 비숑, 시츄 등도 마찬가지다. 강아지 귓병으로는 외이염, 외이도염, 중이염, 내이염, 귀 혈종(귓바퀴에 혈액이 고여 부풀어 오르는 질환) 등이 대표적이다.
강아지가 평소와 다르게 지나치게 머리를 흔든다면, 귀를 한번 살펴보자. ▲귀에서 악취가 나는 경우 ▲귀에서 열감이 느껴지는 경우 ▲귀지의 양이 늘어난 경우 ▲귀의 모양이 처친 경우라면 귓병에 걸렸을 확률이 높다. 만약 귀 부근을 건드릴 때 강아지가 피하거나 아파하면 귓병 진행이 많이 된 상태다. 검은 귀지가 보인다면 귀 진드기를 의심해볼 수 있다.
귓병이 조금이라도 의심되면 동물병원에 방문해 검진을 받아야 한다. 귓병은 병원에서 치료가 끝났다고 할 때까지 통원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증상에 따라 다르지만 치료 시간은 대개 3주 정도다. 치료가 끝났다고 해도 안심하긴 금물이다. 귓병은 면역력이 떨어지거나 환경이 좋지 못했을 때 금방 재발하기 때문에 평생 관리해줘야 한다.
따라서, 귓병을 예방하고 재발을 방지하려면 평소 올바른 방법으로 귀 청소를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귀 청소는 귀지를 닦아내는 것이 아니라 ‘녹여낸다’는 느낌으로 한다. 먼저, 귀 세정제가 귀 밖으로 흘러내릴 정도로 부어준다. 그다음, 귓구멍을 부드러운 화장 솜, 탈지면 등으로 막은 뒤 귀를 위아래로 흔들며 부드럽게 마사지해준다. 그러면 세정액이 귀지를 녹여 귓속에서 쩍쩍 소리가 난다. 어느 정도 지나면 귀를 막은 화장 솜을 꺼낸 뒤, 새 화장솜으로 귀 바깥을 가볍게 훑어준다.
면봉 사용은 금물이다. 면봉으로 귀 청소를 해주려다 오히려 귀지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깊숙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귀털 제거도 함부로 하지 않도록 한다. 귀털 제거를 한 자리에 상처가 나 만성 귓병이 생길 수 있다. 귀털은 털이 염증을 덮어 상태를 악화시키거나 귀털로 인해 분비물이 배출되지 않을 경우에만 제거해주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