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일반

‘이것’ 먹다가 젖니 빨리 빠지면… 영구치열 흐트러진다

이해림 기자

이미지

견과류 등 딱딱한 음식을 먹다가 외상을 입은 젖니가 지나치게 빨리 빠지면, 영구치열이 흐트러진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오늘은 우리 민족이 오랜 세월 이어온 전통 명절인 정월 대보름이다. 가족과 이웃이 모여 견과류 등 단단한 음식을 깨물어 먹으며 한 해의 건강과 행운을 기원하는 ‘부럼 깨기’를 하는 날이다. 그러나 견과류처럼 단단한 음식은 어린아이들의 치아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으므로 주의하는 게 좋다.

성장기 아이들의 유치(젖니)는 성인의 영구치보다 법랑질이 얇아 손상에 취약하다. 무리한 힘을 가하면 치아에 금이 가거나 깨질 위험이 있다. 유치가 깨지면 통증이 극심할 뿐 아니라 아예 빠져버릴 위험도 있다. 영구치가 나는 데에도 악영향을 미쳐 문제다. 유치가 지나치게 빨리 빠지면, 이가 빠진 자리 양옆의 치아가 빈 곳으로 쓰러진다. 공간이 부족하니 영구치가 제자리에 나지 못해 치열이 흐트러질 수 있다. 서울성모병원 치과 한성훈 교수는 “장기적으로 부정교합 등 다양한 치아 발달 문제로 이어질 위험이 있으니 단순한 외상 이상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게다가 아이들의 유치는 작은 충격에도 영구치보다 잘 빠진다.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따르면, 0세에서 6세 사이의 아이들에게는 구강 부위 외상이 전체 신체 외상의 약 18%를 차지한다. 한성훈 교수는 “영구치에서는 치관파절(치아 깨짐)이 더 흔하지만, 유치에서는 치아가 완전히 빠지거나 탈구돼 제자리를 벗어나는 일이 더 잦다”며 “영구치가 날 때가 돼 이미 흔들리던 유치가 빠지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흔들리지 않던 유치가 외부 충격에 조기 탈락하는 것은 구강 건강에 좋지 않다”고 말했다.


유치 외상을 유발할 수 있는 딱딱한 음식은 아이가 무리하게 깨물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한성훈 교수는 “아이들이 견과류와 같이 단단한 음식을 섭취할 땐 너무 급하게 깨물지 않도록 주의시키고, 한입 크기로 나누어 먹도록 권하는 것이 좋다”며 “아이가 평소와 다르게 입안 통증을 호소하거나 치아의 위치와 색깔이 변한 게 관찰된다면, 신속히 치과를 방문해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미 외상을 입어 이가 빠지려 한다면, 결손된 치아 공간을 내버려둬선 안 된다. 이후에 영구치가 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 한성훈 교수는 “치과교정과 전문의와 상담하고, 올바른 교정을 통해 정상적인 치열 발달을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