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어차피 빠질 젖니, 충치 치료 해야 할까?

신은진 헬스조선 기자 | 도움말=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 소아치과 박소연 교수

이미지

젖니 관리를 잘해야 건강한 영구치를 얻을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아이들은 치과 진료를 무서워하고 힘들어해 충치 치료가 쉽지 않다. 젖니는 때가 되면 빠지게 되는데 굳이 아이를 힘들게 하며 충치 치료를 해야 하나 싶은 보호자도 많다. 정말 젖니 충치치료는 하지 않아도 되는지 알아보자.

◇젖니 치료, 영구치 건강 첫 걸음
가지런하고 튼튼한 영구치를 위해서라도 젖니 충치 치료는 필요하다. 젖니는 앞으로 나올 영구치가 나올 공간을 잡아주고 올바르게 나올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치료가 늦어질 경우 충치로 인해 치아가 일찍 빠지면 심한 덧니가 생기거나 염증이 심한 경우에 이가 나오지 못하게 된다.

영구치는 만 6살이 되면 영구치가 맨 뒤쪽에서 나오기 시작한다. 처음 나는 영구치는 맨 뒤에 있어서 젖니인 줄 알고 충치가 생겨도 신경 쓰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 치아는 평생 사용해야 하는 중요한 치아이다. 평생 사용해야 하는 치아이기에 예방치료를 꾸준히 하고, 새로 생긴 충치는 바로 치료해야 한다.

◇가지런한 영구치, 젖니 날 때부터 관리해야
기능·미용상 측면에서 가지런한 치아는 중요하다. 교정을 통해 치열 등을 교정할 수 있으나 가장 좋은 방법은 영구치가 바르게 날 수 있게 미리 관리해주는 것이다.

생후 6개월 전후가 되면 아랫니와 앞니가 나오기 시작하는데, 이때부터 부모들은 거즈나 유아용 칫솔 등으로 아이들의 치아를 닦아주기 시작해야 한다. 이가 썩는 것을 막기 위해 우유병을 물고자거나 음식을 물고 다니는 습관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생후 1년 6개월이 되면 부모가 치약과 칫솔을 이용해서 더 잘 닦아 줘야 한다. 치약을 뱉는 훈련이 되기 전까지는 아이가 치약을 삼키게 되므로 어린이 전용 치약을 사용해야 한다. 생후 2년이 되면 모든 젖니가 거의 잇몸을 뚫고 나온다. 생후 3세 경 젖니의 위아래가 다 맞물리게 되면, 이때부터 아이들에게 양치하는 법을 가르치고 양치질 습관을 들이도록 하는 것이 좋다.

아이가 영구치가 나기 시작할 때부터 6개월마다 치과를 정기적으로 방문해 점검하는 것이 성인이 돼서도 고르고 예쁜 치아를 유지하는 비결이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