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의 건강]

방송인 현영(48)이 집에서 딸과 함께 플라잉 요가를 자주 한다고 말했다.
지난 12일 방송된 MBN 예능 ‘가보자고(GO) 시즌3’에서 MC 안정환과 홍현희는 송도에 있는 현영의 집을 방문했다. 거실을 둘러보던 중 홍현희는 천장에 매달려 있는 운동기구를 보고 현영에게 “이건 뭐냐”고 물었다. 이에 현영은 “이건 (유소년 수영선수)인 우리 딸이 운동하는 것이다”며 “덕분에 나도 딸과 함께 집에서 운동한다”고 밝혔다. 방송뿐만 아니라 현영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도 집에서 자신과 딸이 플라잉 요가를 하는 모습을 자주 공개했다. 현영이 집에서까지 하는 플라잉 요가의 건강 효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플라잉 요가, 코어 근육 단련하고 변비 해소에도 효과
플라잉 요가는 2007년 미국의 한 체조 전문가가 고안한 것으로, 천장에 매달린 해먹에서 요가 동작하는 운동이다. 거꾸로 매달려서 기본동작을 하기에 ‘스카이 요가’, ‘반중력 요가’라고 불리기도 한다. 천장에 달린 해먹에 허벅지를 걸고 공중에 앉거나 거꾸로 매달리고, 해먹을 배에 걸고 엎드려 누운 뒤 손을 뒤로 뻗어 해먹을 잡고 발을 쭉 펴는 등 해먹 위에서 다양한 동작을 한다. 기본 운동 시간은 1시간이다. 거꾸로 매달려 몸을 곧게 펴서 하므로 틀어진 척추와 골반을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동시에 유연성을 길러주기도 한다. 플라잉 요가는 일반 운동보다 더 많은 근육을 사용하고 코어 근육을 강화해 배의 복근을 만드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중력에 의해 눌려있던 몸속 장기들이 원래의 자리로 찾아가도록 돕기 때문에 소화 기능 강화와 변비 해소의 효과도 있다.
◇운동 전 스트레칭 필수, 통증 있다면 병원에 가야
다만 플라잉 요가는 유연성이 없으면 다칠 수 있으니 유연하지 않은 사람들은 주의해야 한다.
무리하게 동작을 시도하면 어깨, 손목, 허리, 목, 무릎 등 다양한 부위가 다칠 수 있다. 특히 플라잉 요가는 상체를 해먹에 기대 체중을 싣는 자세가 많은 만큼 어깨, 팔꿈치, 손목 등의 부상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무리하게 동작을 시도하거나 체중을 지나치게 실으면 관절에 무리가 갈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유연성에 맞게 스트레칭 후 플라잉 요가를 수행해야 한다. 또한 기저질환이나 손상 이력이 있다면 플라잉 요가를 시작하기 전 의사와 상의하기를 권한다. 또 강사에게도 알려 자세를 조정하는 것이 좋다. 플라잉 요가 자세를 취했을 때 통증을 느끼면 동작을 멈추고 통증 없이 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는 것이 좋다. 그럼에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통증 부위에 얼음을 대고 붕대로 압박해 응급조치하는 것이 좋다. 목과 허리에 통증이 있다면 병원에 방문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지난 12일 방송된 MBN 예능 ‘가보자고(GO) 시즌3’에서 MC 안정환과 홍현희는 송도에 있는 현영의 집을 방문했다. 거실을 둘러보던 중 홍현희는 천장에 매달려 있는 운동기구를 보고 현영에게 “이건 뭐냐”고 물었다. 이에 현영은 “이건 (유소년 수영선수)인 우리 딸이 운동하는 것이다”며 “덕분에 나도 딸과 함께 집에서 운동한다”고 밝혔다. 방송뿐만 아니라 현영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도 집에서 자신과 딸이 플라잉 요가를 하는 모습을 자주 공개했다. 현영이 집에서까지 하는 플라잉 요가의 건강 효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플라잉 요가, 코어 근육 단련하고 변비 해소에도 효과
플라잉 요가는 2007년 미국의 한 체조 전문가가 고안한 것으로, 천장에 매달린 해먹에서 요가 동작하는 운동이다. 거꾸로 매달려서 기본동작을 하기에 ‘스카이 요가’, ‘반중력 요가’라고 불리기도 한다. 천장에 달린 해먹에 허벅지를 걸고 공중에 앉거나 거꾸로 매달리고, 해먹을 배에 걸고 엎드려 누운 뒤 손을 뒤로 뻗어 해먹을 잡고 발을 쭉 펴는 등 해먹 위에서 다양한 동작을 한다. 기본 운동 시간은 1시간이다. 거꾸로 매달려 몸을 곧게 펴서 하므로 틀어진 척추와 골반을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동시에 유연성을 길러주기도 한다. 플라잉 요가는 일반 운동보다 더 많은 근육을 사용하고 코어 근육을 강화해 배의 복근을 만드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중력에 의해 눌려있던 몸속 장기들이 원래의 자리로 찾아가도록 돕기 때문에 소화 기능 강화와 변비 해소의 효과도 있다.
◇운동 전 스트레칭 필수, 통증 있다면 병원에 가야
다만 플라잉 요가는 유연성이 없으면 다칠 수 있으니 유연하지 않은 사람들은 주의해야 한다.
무리하게 동작을 시도하면 어깨, 손목, 허리, 목, 무릎 등 다양한 부위가 다칠 수 있다. 특히 플라잉 요가는 상체를 해먹에 기대 체중을 싣는 자세가 많은 만큼 어깨, 팔꿈치, 손목 등의 부상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무리하게 동작을 시도하거나 체중을 지나치게 실으면 관절에 무리가 갈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유연성에 맞게 스트레칭 후 플라잉 요가를 수행해야 한다. 또한 기저질환이나 손상 이력이 있다면 플라잉 요가를 시작하기 전 의사와 상의하기를 권한다. 또 강사에게도 알려 자세를 조정하는 것이 좋다. 플라잉 요가 자세를 취했을 때 통증을 느끼면 동작을 멈추고 통증 없이 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는 것이 좋다. 그럼에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통증 부위에 얼음을 대고 붕대로 압박해 응급조치하는 것이 좋다. 목과 허리에 통증이 있다면 병원에 방문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