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
미스코리아 출신 이혜원, 얼굴 부기 뺄 때 '이 음료' 마셔… 얼마나 효과 좋길래?
이해나 기자 | 박수빈 인턴기자
입력 2024/08/08 15:00
[스타의 건강]
미스코리아 출신이자 축구선수 안정환 배우자인 이혜원(45)이 자신의 부기 관리법을 공개했다.
지난 7일 이혜원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제2혜원'에는 '콩국수 먹으러 간 집은 사실 제가 붓기 빼러 가는 집입니다'라는 제목의 영상이 게재됐다. 영상에서 이혜원은 "팥물이 부기 빼는 데 좋다"며 "저녁 때 두세 잔 정도 마시고 자면 다음 날 부기가 빠져있다"고 말했다. 또 "운동 전후 녹차를 마시는 것도 부기를 제거하는 데 좋다"고 했다. 팥물과 녹차의 실제 효능에 대해 알아본다.
◇팥물, 손발 저릴 때도 도움
팥물은 몸의 부기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특히 평소 잘 붓고 손발이 저리다면 팥물을 먹는 것을 추천한다. 팥 안에 들어 있는 칼륨과 껍질 속 사포닌, 식이섬유 때문이다. 칼륨은 나트륨을 배출하고 부종을 완화한다. 또 사포닌은 이뇨 작용을, 식이섬유는 장 기능을 활성화하고 변비를 예방해 체중 감량에도 도움을 준다. 팥에 함유된 식이섬유는 사과의 13배, 고구마의 5배나 된다. 팥에는 비타민 B1도 풍부하게 들어 있어 섭취한 영양분이 에너지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 대사를 돕는다. 이 밖에도 ▲비타민 A ▲비타민 B2 ▲니코틴산 ▲칼슘 ▲인 ▲철분 등이 많이 함유돼 있다. 하지만 식이섬유 함량이 높아 과량 섭취 시 복부 팽창과 통증, 설사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사포닌이 장을 자극해 설사를 유발할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녹차, 노폐물 배출에 효과
녹차는 대표적인 마이너스 열량 식품으로, 몸의 부기를 빼는 데 효과적이다. 녹차에 함유된 카테킨 성분은 몸속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억제한다. 카테킨 성분이 체내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하고 배설을 촉진해 불필요한 노폐물과 중성지방을 배출하기 때문이다. 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이 40세 이상 1856명을 대상으로 마시는 차 종류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사한 결과, 녹차를 주로 마시는 사람은 몸에 나쁜 콜레스테롤(LDL)과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가장 낮았다. 카테킨은 지방분해효소인 리파아제를 활성화하기도 한다. 리파아제는 섭취한 지방질 소화를 도와 배출을 원활하게 한다.
지난 7일 이혜원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제2혜원'에는 '콩국수 먹으러 간 집은 사실 제가 붓기 빼러 가는 집입니다'라는 제목의 영상이 게재됐다. 영상에서 이혜원은 "팥물이 부기 빼는 데 좋다"며 "저녁 때 두세 잔 정도 마시고 자면 다음 날 부기가 빠져있다"고 말했다. 또 "운동 전후 녹차를 마시는 것도 부기를 제거하는 데 좋다"고 했다. 팥물과 녹차의 실제 효능에 대해 알아본다.
◇팥물, 손발 저릴 때도 도움
팥물은 몸의 부기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특히 평소 잘 붓고 손발이 저리다면 팥물을 먹는 것을 추천한다. 팥 안에 들어 있는 칼륨과 껍질 속 사포닌, 식이섬유 때문이다. 칼륨은 나트륨을 배출하고 부종을 완화한다. 또 사포닌은 이뇨 작용을, 식이섬유는 장 기능을 활성화하고 변비를 예방해 체중 감량에도 도움을 준다. 팥에 함유된 식이섬유는 사과의 13배, 고구마의 5배나 된다. 팥에는 비타민 B1도 풍부하게 들어 있어 섭취한 영양분이 에너지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 대사를 돕는다. 이 밖에도 ▲비타민 A ▲비타민 B2 ▲니코틴산 ▲칼슘 ▲인 ▲철분 등이 많이 함유돼 있다. 하지만 식이섬유 함량이 높아 과량 섭취 시 복부 팽창과 통증, 설사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사포닌이 장을 자극해 설사를 유발할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녹차, 노폐물 배출에 효과
녹차는 대표적인 마이너스 열량 식품으로, 몸의 부기를 빼는 데 효과적이다. 녹차에 함유된 카테킨 성분은 몸속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억제한다. 카테킨 성분이 체내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하고 배설을 촉진해 불필요한 노폐물과 중성지방을 배출하기 때문이다. 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이 40세 이상 1856명을 대상으로 마시는 차 종류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사한 결과, 녹차를 주로 마시는 사람은 몸에 나쁜 콜레스테롤(LDL)과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가장 낮았다. 카테킨은 지방분해효소인 리파아제를 활성화하기도 한다. 리파아제는 섭취한 지방질 소화를 도와 배출을 원활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