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리 기간도 아닌데 자꾸 아랫배 통증이 느껴진다면 골반염 전조 증상일 수 있다. 골반염은 방치하면 불임, 난관 손상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골반염의 원인, 증상, 치료법에 대해 알아봤다.
골반염은 자궁내경부, 자궁내막, 난소, 난관, 자궁주위 조직 등 상부 생식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요 원인은 성병의 원인균인 임질균과 클라미디아균이다. 하지만 모두가 성병 때문인 건 아니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산부인과 상재홍 교수는 “세균성질증을 유발하는 균들도 상부 생식기계에 급성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며 “이로 인해 조직이 손상되면, 다른 균주들이 질이나 자궁경부, 상부생식기에 접근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골반염의 주요 증상은 골반통, 발열, 자궁경부나 난소, 난관 등 자궁부속기의 통증이다. 이외에도 ▲질 분비물 증가 ▲갑작스러운 월경량의 증가 ▲열감 및 오한 ▲배뇨 시 불편감 등 비뇨생식기계의 이상 증상이 있을 수 있다.
비특이적인 아랫배 통증만 생기거나 증상이 전혀 없는 경우도 많다. 골반염 진단이 어려운 이유다. 상재홍 교수는 “아랫배 통증은 의심되는 원인이 많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며 “골반염을 방치하면 불임, 자궁 외 임신을 일으키는 난관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만성 감염증을 일으켜서 만성적인 골반 통증 등 합병증이 생기기도 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비뇨생식기계 이상 증상이 느껴진다면 반드시 의료기관에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골반염을 진단하려면 골반강 내 염증 징후를 확인하는 게 먼저다. 또 질과 자궁내경관에서 냉증, 고름 등 분비물이 있는지 확인하고, 분비물에 대한 배양검사를 시행해 균을 확인한다. 혈액검사, 초음파 검사, 복강경 등을 이용한 검사도 도움이 된다.
골반염을 치료하려면 불임과 자궁 외 임신을 일으키는 난관 손상 및 만성 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광범위 항생제를 투여한다. 경도, 중등도 골반염은 경구 약물치료가 입원 치료만큼 효과적이므로 통원 치료를 시행한다. 다만 증상이 심하거나 농양 등이 의심되면 입원 치료가 필요하다. 또 임신 중 골반염인 경우, 경구 항생제 치료에 효과가 없는 경우, 급성 충수염 등 수술적 응급 질환을 배제할 수 없는 경우 입원치료가 권장된다.
골반염이 심한 경우 골반강 내 고름 덩어리인 난관난소농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난관, 난소, 장 등이 염증으로 서로 엉겨 붙어 거대한 덩어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입원 치료가 필요하다. 상 교수는 “난관난소농양의 75%에서는 항생제 치료만으로 호전되지만, 항생제 치료에 반응이 없다면 수술적 치료나 피부를 통해 고름을 빼주는 시술을 해야 한다”며 “또, 골반염이 있는 여성의 파트너도 클라미디아와 임질균에 대한 검사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골반염 치료 후에는 재발 방지를 위해 주기적 검진이 중요하다. 예방을 위해서는 콘돔 사용 등 안전한 성생활 실천이 필수적이다. 일단 성병에 감염되면 치료 완료 시까지 성관계를 자제해야 한다.
상재홍 교수는 “아랫배 통증 등 이상 증상이 있다면 골반염 가능성을 의심하고 즉시 진료를 받는 게 중요한데 초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로 심각한 합병증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골반염은 자궁내경부, 자궁내막, 난소, 난관, 자궁주위 조직 등 상부 생식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요 원인은 성병의 원인균인 임질균과 클라미디아균이다. 하지만 모두가 성병 때문인 건 아니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산부인과 상재홍 교수는 “세균성질증을 유발하는 균들도 상부 생식기계에 급성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며 “이로 인해 조직이 손상되면, 다른 균주들이 질이나 자궁경부, 상부생식기에 접근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골반염의 주요 증상은 골반통, 발열, 자궁경부나 난소, 난관 등 자궁부속기의 통증이다. 이외에도 ▲질 분비물 증가 ▲갑작스러운 월경량의 증가 ▲열감 및 오한 ▲배뇨 시 불편감 등 비뇨생식기계의 이상 증상이 있을 수 있다.
비특이적인 아랫배 통증만 생기거나 증상이 전혀 없는 경우도 많다. 골반염 진단이 어려운 이유다. 상재홍 교수는 “아랫배 통증은 의심되는 원인이 많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며 “골반염을 방치하면 불임, 자궁 외 임신을 일으키는 난관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만성 감염증을 일으켜서 만성적인 골반 통증 등 합병증이 생기기도 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비뇨생식기계 이상 증상이 느껴진다면 반드시 의료기관에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골반염을 진단하려면 골반강 내 염증 징후를 확인하는 게 먼저다. 또 질과 자궁내경관에서 냉증, 고름 등 분비물이 있는지 확인하고, 분비물에 대한 배양검사를 시행해 균을 확인한다. 혈액검사, 초음파 검사, 복강경 등을 이용한 검사도 도움이 된다.
골반염을 치료하려면 불임과 자궁 외 임신을 일으키는 난관 손상 및 만성 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광범위 항생제를 투여한다. 경도, 중등도 골반염은 경구 약물치료가 입원 치료만큼 효과적이므로 통원 치료를 시행한다. 다만 증상이 심하거나 농양 등이 의심되면 입원 치료가 필요하다. 또 임신 중 골반염인 경우, 경구 항생제 치료에 효과가 없는 경우, 급성 충수염 등 수술적 응급 질환을 배제할 수 없는 경우 입원치료가 권장된다.
골반염이 심한 경우 골반강 내 고름 덩어리인 난관난소농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난관, 난소, 장 등이 염증으로 서로 엉겨 붙어 거대한 덩어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입원 치료가 필요하다. 상 교수는 “난관난소농양의 75%에서는 항생제 치료만으로 호전되지만, 항생제 치료에 반응이 없다면 수술적 치료나 피부를 통해 고름을 빼주는 시술을 해야 한다”며 “또, 골반염이 있는 여성의 파트너도 클라미디아와 임질균에 대한 검사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골반염 치료 후에는 재발 방지를 위해 주기적 검진이 중요하다. 예방을 위해서는 콘돔 사용 등 안전한 성생활 실천이 필수적이다. 일단 성병에 감염되면 치료 완료 시까지 성관계를 자제해야 한다.
상재홍 교수는 “아랫배 통증 등 이상 증상이 있다면 골반염 가능성을 의심하고 즉시 진료를 받는 게 중요한데 초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로 심각한 합병증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