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여에스더 옷 보관법, '건강에 최악'이라는데… 뭐가 문제이길래?
김예경 기자
입력 2024/07/01 16:20
[스타의 건강]
가정의학과 전문의 여에스더(59)가 비닐에 옷을 싼 채로 보관했다고 밝혔다.
지난 6월 29일 유튜브 채널 'A급 장영란'에는 '부자 언니 여에스더의 혼자 사는 자택 최초 공개 (타워팰리스)'라는 제목의 영상이 게재됐다. 영상에 출연한 여에스더는 자신의 드레스룸을 공개했다. 여에스더는 "게을러서 비닐로 싼 옷을 아직 못 벗겼다"며 "비닐로 옷을 싸 보관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옷을 비닐에 싸서 보관하면 좋지 않은 이유와 여름철 올바른 옷 보관법에 대해 알아본다.
◇비닐 제거하지 않으면 옷감 상하고, 파킨슨병 유발할 수 있어
옷을 비닐에 덮은 상태로 보관하면 통풍이 잘되지 않아 옷감에 좋지 않다. 심할 경우 비닐 안에 습기가 차 곰팡이가 생길 수도 있다. 드라이클리닝을 후 비닐에 쌓인 옷을 그대로 두면 몸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 이대로 보관하면 차후 유해 물질이 피부나 호흡기를 통해 들어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드라이클리닝을 할 때 옷을 열풍 건조하는 과정에서 액체였던 '트리클로로에틸렌'(TCE, Trichloroethylene)이 휘발돼 옷에 일부 붙게 된다. 이때 비닐 포장된 옷을 그대로 보관하면 TCE가 옷에 남아있을 수 있다. TCE는 파킨슨병 발병 위험을 높인다. 따라서 세탁소에서 옷을 받아오면 비닐은 바로 버리거나, 비닐을 벗겨낸 후 바깥에서 3~4시간 통풍해 주는 것이 좋다.
◇황변 현상 일어날 수 있으니 여름옷은 꼭 종이상자에 보관하기
여름옷은 소재가 얇고 색이 밝아 쉽게 변질된다. 따라서 목이나 겨드랑이 부분에 누런 얼룩이 생기는 '황변 현상'에 주의해야 한다. 황변 현상이란 옷에 묻은 분비물이나 음식물 등 오염 자국이 자외선, 산화가스와 만나 색이 변하는 현상이다. 세탁기나 손빨래 등 일반적인 세탁으로 제거가 거의 불가능해 보관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블라우스, 여름용 재킷 등 드라이클리닝이 필요한 여름옷의 경우 얼룩이나 노폐물을 제거하지 않고 보관하면 섬유에 얼룩이 고착될 수 있어 추후 오염 제거가 어려워진다. 결국 여름옷은 햇빛에 변색되지 않도록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종이상자에 보관하는 것이 가장 좋다. 빛이 통하는 정도의 플라스틱 상자는 피해야 한다. 또한 옷을 넣을 때는 무거운 옷부터 넣어 옷 주름을 방지한다. 옷 사이에 종이를 끼워 보관하면 세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습제를 상자 위에 놓아주면 습기를 제거에도 효과적이다.
지난 6월 29일 유튜브 채널 'A급 장영란'에는 '부자 언니 여에스더의 혼자 사는 자택 최초 공개 (타워팰리스)'라는 제목의 영상이 게재됐다. 영상에 출연한 여에스더는 자신의 드레스룸을 공개했다. 여에스더는 "게을러서 비닐로 싼 옷을 아직 못 벗겼다"며 "비닐로 옷을 싸 보관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옷을 비닐에 싸서 보관하면 좋지 않은 이유와 여름철 올바른 옷 보관법에 대해 알아본다.
◇비닐 제거하지 않으면 옷감 상하고, 파킨슨병 유발할 수 있어
옷을 비닐에 덮은 상태로 보관하면 통풍이 잘되지 않아 옷감에 좋지 않다. 심할 경우 비닐 안에 습기가 차 곰팡이가 생길 수도 있다. 드라이클리닝을 후 비닐에 쌓인 옷을 그대로 두면 몸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 이대로 보관하면 차후 유해 물질이 피부나 호흡기를 통해 들어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드라이클리닝을 할 때 옷을 열풍 건조하는 과정에서 액체였던 '트리클로로에틸렌'(TCE, Trichloroethylene)이 휘발돼 옷에 일부 붙게 된다. 이때 비닐 포장된 옷을 그대로 보관하면 TCE가 옷에 남아있을 수 있다. TCE는 파킨슨병 발병 위험을 높인다. 따라서 세탁소에서 옷을 받아오면 비닐은 바로 버리거나, 비닐을 벗겨낸 후 바깥에서 3~4시간 통풍해 주는 것이 좋다.
◇황변 현상 일어날 수 있으니 여름옷은 꼭 종이상자에 보관하기
여름옷은 소재가 얇고 색이 밝아 쉽게 변질된다. 따라서 목이나 겨드랑이 부분에 누런 얼룩이 생기는 '황변 현상'에 주의해야 한다. 황변 현상이란 옷에 묻은 분비물이나 음식물 등 오염 자국이 자외선, 산화가스와 만나 색이 변하는 현상이다. 세탁기나 손빨래 등 일반적인 세탁으로 제거가 거의 불가능해 보관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블라우스, 여름용 재킷 등 드라이클리닝이 필요한 여름옷의 경우 얼룩이나 노폐물을 제거하지 않고 보관하면 섬유에 얼룩이 고착될 수 있어 추후 오염 제거가 어려워진다. 결국 여름옷은 햇빛에 변색되지 않도록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종이상자에 보관하는 것이 가장 좋다. 빛이 통하는 정도의 플라스틱 상자는 피해야 한다. 또한 옷을 넣을 때는 무거운 옷부터 넣어 옷 주름을 방지한다. 옷 사이에 종이를 끼워 보관하면 세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습제를 상자 위에 놓아주면 습기를 제거에도 효과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