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실신 경험 있다면, ‘이곳’ 점검해야

최지우 기자

이미지

혈압이 낮아지고 뇌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하면 실신을 경험할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가 잠시 후 정신을 다시 회복하는 ‘실신’을 경험하는 경우가 있다. 실신의 원인은 매우 다양해 이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히 대처해야 한다.

◇반사성 실신
반사성 실신은 스트레스를 비롯한 정신적 긴장 등으로 혈압이 낮아지고 뇌 혈류량이 감소해 의식을 잃게 되는 현상이다. 크게 혈관 미주신경성 실신과 상황성 실신으로 나뉘며, 교감신경이 지나치게 흥분하면 이를 억제하기 위해 부교감신경(미주신경)이 극도로 항진돼 실신에 이른다. 메스꺼움, 시야 좁아짐, 가슴 답답해짐, 손 떨림, 식은땀 등의 증상이 먼저 나타난 뒤 의식을 잃으며 수 초에서 수 분 내에 저절로 회복한다. 질환이라기보다 증상에 가깝고, 의식을 잃은 뒤 잠시 누워 안정을 취하면 별다른 치료 없이 깨어난다. 단, 쓰러질 때 무언가에 부딪히는 등 2차 사고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원인 규명으로 실신을 예방하는 게 좋다.


◇기립성 저혈압
기립성 저혈압은 눕거나 앉아 있다가 갑자기 일어날 때, 중력에 의해 혈액이 하지로 쏠리면서 혈압이 떨어지고 뇌 혈류가 줄어 발생한다. 더위 등으로 인한 탈수, 빈혈, 고혈압이나 심장병, 전립선 약물 복용 등이 주된 발생 원인이다. 기립성 저혈압을 경험했다면 몸을 일으킬 때 최대한 천천히 움직이고, 평소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는 등의 예방적 노력이 도움이 된다. 만약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혈압, 심전도 측정 등 검사를 통해 원인질환을 파악해 개선해야 한다.

◇저혈당 쇼크
혈당이 70mg/dL보다 낮게 떨어진 경우, 의식저하나 실신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를 저혈당 쇼크라고 하는데 불규칙한 식사, 운동량 급격한 증가, 과음 등이 원인이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당뇨병 약제나 인슐린 주사 등의 용량, 투여 시기가 적절하지 않거나 다양한 원인에 의해 혈당이 급격하게 떨어져 발생한다. 저혈당 쇼크가 발생하면 의식을 회복한 뒤 즉시 15~20g의 당질을 섭취해야 한다. ▲콜라나 주스 3/4컵(175mL) ▲사탕 3~4개 ▲설탕 15g(각설탕 세 조각) ▲꿀 한 숟가락(15mL) ▲요구르트 100mL, 포도당 정제 3정 등이다. 의식을 잃은 상태에서 섭취하면 기도가 막힐 위험이 있어 자제해야 한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