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출혈 막는 비타민K, '이 채소' 잎에 가장 많아

이해나 기자

충북대 이준수 교수팀, 시판 식품 136종 검사 결과

이미지

바질 잎/사진=클립아트코리아
출혈을 억제하고 뼈를 튼튼하게 하는 비타민K가 바질잎과 후추에 풍부하게 들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6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충북대 식품생명공학과 이준수 교수팀이 시판 중인 견과류 12종, 난류 13종, 육류 28종, 조미료 18종, 채소 65종 등 식품 136종의 비타민K 함량을 검사했다.

견과류에선 조미된 피칸의 100g당 비타민K 함량이 14㎍으로 가장 높았다. 난류에선 오리 알의 노른자(60㎍), 육류에선 소 막창(33㎍), 조미료에선 후추(229㎍), 채소에서 바질 잎(575㎍)이 최고치를 나타냈다.

이 교수팀은 논문에서 "조미가 안 된 견과류보다 조미된 견과류에서 비타민K 함량이 높았다"며 "이는 조미할 때 비타민K가 풍부한 말린 허브를 사용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고 설명했다.


난류에선 비타민K가 노른자에서만 검출됐고, 흰자에선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오리 알·메추리 알·계란 노른자의 비타민K 함량은 생것과 삶은 것이 별로 다르지 않았다. 이는 비타민K가 열에 강해 조리 후에도 대부분 파괴되지 않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비타민K 함량을 검사한 육류 18종 중 15종에서 비타민K가 나왔다. 비타민K가 확인되지 않은 육류는 소 곱창·소 대창·소간이었다.

조미료 중 100g당 비타민K 함량 1위는 후추(229㎍), 2위는 마요네즈(143㎍)였다. 채소 중에선 바질 잎(575㎍)에 이어 아마란스 새싹(433㎍)·루꼴라(425㎍)·들깻잎(418㎍)·곰취(370㎍) 등 100g당 비타민K 함량이 높았다. 비트·당근·우엉·마늘·생강·양파·무 식물의 뿌리 부분을 먹는 채소에선 비타민K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