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헤더 동작은 뇌 손상 위험을 높인다./사진=연합뉴스
지난 28일 2022 카타르 월드컵 대한민국과 가나의 경기가 2대 3으로 종료됐다. 아쉬운 결과지만, 만회골과 추가골을 연달아 헤더(헤딩)로 넣은 조규성의 활약이 눈부셨다. 그런데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 괜찮을까?

◇반복적 충격, 뇌질환 위험 높여
헤더 동작을 반복하면 뇌 손상 정도가 심해져 뇌 질환이 생길 수 있다. 뇌진탕유산재단 국제연구팀에 따르면, 머리에 충격이 자주 가해지는 스포츠 선수는 일반인보다 만성 외상 뇌병증에 걸릴 위험이 68배 더 높다. 만성 외상 뇌병증은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으로 뇌세포가 파괴돼 두뇌가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기억력 손상, 우울증, 치매로 이어지는 뇌질환이다. 만성 외상 뇌병증은 총 4단계로 발병한다. 1단계, 두통이 생기고 집중력이 흐트러진다. 2단계, 두통과 집중력 저하가 지속되고 우울증, 공격적인 성향이 나타난다. 3단계, 인지기능이 손상되기 시작한다. 4단계, 치매로 이어져 언어능력이 떨어지고 공격적인 성향이 심화된다.


◇치매도 조심해야
헤더로 인한 뇌 손상은 치매 발생 위험도 높인다. 미국 의사협회지 연구팀이 18년간 전직 축구선수 7636명과 일반인 2만3028명의 치매 발생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전직 축구선수였던 사람은 일반인보다 치매 발생률이 3.7배 더 높았다. 특히 상대의 공격을 방어하느라 헤더로 공을 많이 받는 수비수는 일반인보다 치매 발생 위험이 5배나 더 높았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축구연맹(USSF)나 잉글랜드축구협회(FA)에서도 뇌가 충분히 자라지 않은 유소년들의 헤더를 금지 및 최소화하고 있다.

◇빠른 대처 필요해
축구를 건강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헤더로 공을 받는 횟수를 최대한 줄이는 게 이상적이다. 또 헤더 기술을 자주 사용하며 축구를 한다면, 주기적으로 CT(컴퓨터단층촬영)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CT는 머리 외상을 정확하고 빠르게 진단하는 검사법이다. 헤더 후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때도 CT로 뇌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구역·구토를 동반한 두통 ▲의식 혼미·졸음 ▲의식 잃는 경우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경우 ▲코나 귀로 맑은 액체나 피가 나오는 경우에는 곧바로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머리 외상의 예후는 환자의 나이, 손상 정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로 뇌 손상을 줄이면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