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비대증 非수술 치료
약물로 크기 못 줄여… 궁극적 치료 안 돼
수술은 출혈 발생, 소변줄 착용 번거로움
전립선결찰술, 마취 필요 없고 당일 퇴원
스탠탑비뇨의학과의원, 시술 1000건 달성

◇심한 경우 배뇨 못해 소변줄 찰 수도…
배뇨장애는 크게 자극증상과 요폐증상 두 가지로 나뉜다. ▲소변줄이 가늘어지는 '세뇨' ▲소변을 자주 보게 되는 '빈뇨' ▲소변을 보아도 다 보지 못한 것 같은 '잔뇨감' ▲소변을 참기 힘든 '급박뇨' ▲자다가 일어나서 보게 되는 '야간뇨' 등은 배뇨와 관련한 자극 증상이다. 모두 전립선비대증의 초기 신호라 볼 수 있다. 이를 간과해 증상이 점점 악화할 경우 요폐증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요폐증상은 아무리 아랫배에 힘을 줘도 소변 배출이 안 되는 응급 상황이다.
스탠탑비뇨의학과의원의 길명철 원장은 "비대해진 전립선이 소변길을 꽉 막아 배뇨를 못하게 되면 신장의 기능이 약해져 소변줄에 의존하게 될 위험도 있다"고 말했다.
◇약물 부작용과 수술 부담감이 치료 방해
전립선비대증의 치료 방법은 크게 약물 치료와 수술로 나뉜다. 약물 치료는 정도가 심하지 않을 때 적용된다. 다만 증상 악화를 지연시킬 뿐 비대해진 전립선의 크기를 줄이지는 못해 궁극적인 치료법으로 보긴 어렵다. 길명철 원장은 "대다수 남성들이 전립선비대증 증상이 발현하면 노화 현상으로 치부하고 약물 치료에 의존한다"며 "정확한 진단 없이 무조건적인 약물 복용을 이어나간다면 중요한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것은 물론 약물 부작용을 겪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수술 치료는 조직을 절개하거나 레이저로 태우는 방법이 주를 이룬다. 출혈 발생 가능성과 소변줄을 착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동반한다. 가장 표준적인 수술로 꼽히는 경요도적 전립선 절제술(TURP)도 수술에 대한 부담과 부작용 위험을 안고 있어 이를 개선한 레볼릭스레이저, 홀뮴레이저 전립선기화술을 이용한 치료법이 적용되기도 한다.
◇15분 만에 전립선결찰술로 묶어서 해결
최근 전립선비대증 치료 추세는 '전립선결찰술'로 정리된다. 전립선결찰술은 '결찰사' 이식을 통해 비대해진 전립선을 묶는 치료법이다. 1회 시술만으로 반영구적인 배뇨장애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 또 내시경이 활용되므로 절개 부위가 적은 최소 침습으로 진행되고 덕분에 전신마취와 입원도 필요 없다. 이러한 이유로 고령자 및 당뇨와 같은 만성질환을 겪고 있는 환자들에게도 유리하다. 길명철 원장은 "보통의 전립선비대증 수술 시간은 1시간가량 소요되는데 전립선결찰술은 15~20분 만에 끝나 입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며 "소변줄을 유지할 필요 없이 당일 퇴원이 가능하고 그날 저녁 성관계까지 할 수 있을 정도로 회복이 빠르다"고 말했다.
◇40대 이상 남성 정기 검진 필수, 시술 땐 경험 풍부한 병원 찾아야
전립선결찰술은 효과와 안전성을 인증받아 2015년 보건복지부로부터 '신의료기술'로 지정됐다. 그 이전인 2013년엔 미국 FDA의 허가를 받았으며 유럽 비뇨기과학회에서도 최고 등급을 받아 검증된 시술법이라 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스탠탑비뇨의학과의원이 2018~2022년 전립선결찰술 시술 1000건을 달성했다. 길명철 원장은 "전립선비대증을 치료하지 않는다면 급성 요폐와 신부전 등 다양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며 "전방위적으로 삶의 질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수명이 길어진 요즈음 남성들에게 결코 가볍게 여길 수 없는 질환이다"라고 말했다. 또 "정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기엔 어렵지만 전립선비대증은 성생활 자체에 영향을 미치므로 40대 이상 남성이라면 1년에 한 번 정기적인 전립선 검사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