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
티눈·굳은살, 구분 어렵다면 ‘이것’ 확인하세요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04/10 23:00
발에 생긴 티눈, 굳은살이 쉽게 구분되지 않을 때가 있다. 형태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르지만, 겉모습이나 촉감만 봐서는 큰 차이가 느껴지지 않기 때문이다. 굳은살이라고 생각해 정상적으로 제거했지만, 똑같은 부분에 비슷한 모양의 굳은살 또는 티눈이 생기곤 한다. 둘을 구분할 수는 없을까.
굳은살은 피부에 압력이 계속해서 가해지면서 생기는 것으로, 피부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가장 바깥쪽 각질층을 증식하면서 만들어진다. 각질층이 증식하다보니 피부가 점차 두껍고 단단해진다.
굳은살과 티눈을 감별해내려면 모양을 자세히 살펴야 한다. 넓은 부위에 압력이 가해지면 굳은살이 생기지만, 좁은 부위에 집중될 경우에는 굳은살 속에 원뿔 모양으로 단단한 핵이 만들어져 티눈이 된다. 굳은살은 살갗이 벗겨지지 않는 이상 큰 통증을 유발하지 않지만, 티눈은 핵의 모서리 부분이 피부 속에 깊이 박히면서 걸을 때 발바닥이 못에 찔린 듯한 통증을 느낄 수 있다.
굳은살을 제거하려면 발을 완전히 건조시켜 표면이 거칠거칠하게 만든 뒤 각질 제거기로 문지르면 된다. 반면 티눈은 주변 굳은살이 아닌 핵을 제거해야 한다. 단순히 살만 벗겨낼 경우 핵 주변이 다시 단단해지면서 티눈이 재발하기 쉽다. 보통 티눈을 굳힌 뒤 뽑아내는 밴드나 연고로 제거하며, 병원에서는 액화질소로 피부를 얼려 티눈의 핵이 떨어져 나오게 하는 냉동치료를 실시하기도 한다.
한편, 티눈이나 굳은살처럼 보이지만 점점 수가 점점 늘어난다면 ‘사마귀’일 가능성이 높다. 사마귀는 인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이 원인으로, 누르면 아프고 손으로 뜯을 경우 출혈이 발생한다. 튀어나온 부위에 혈관이 있다 보니, 겉으로 봤을 때 검은 점처럼 보이기도 한다. 사마귀는 쉽게 감염되 수 있으므로 치료용 연고나 밴드 대신 처음부터 병원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병원에서는 피부를 얼린 뒤 바이러스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을 치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