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칼슘만큼 중요한 ‘아연’, 어떤 식품에 많이 들었나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완두콩은 아연이 많이 들어있는 대표적 식품 중 하나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건강을 위해서는 칼슘이나 비타민 등 다른 영양소 못지않게 ‘아연’ 또한 잘 보충해야 한다. 미량영양소인 아연은 우리 몸이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에 대항할 수 있도록 면역체계를 튼튼하게 해주며, 단백질과 세포의 유전물질인 DNA 생성에 관여한다.

특히 겨울철 감기 예방을 위해서는 아연을 적절히 보충하는 것이 중요하다. 감기는 대부분 콧구멍과 목에 증식하는 리노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데, 아연이 리노바이러스 증식을 막아주기 때문이다. 아연이 부족할 경우 감기 외에도 설사, 탈모와 상처 회복 지연, 성장 지연 등의 문제를 겪을 수 있다.

아연 결핍을 예방하려면 남자는 매일 10mg, 여자는 8mg을 섭취하는 게 좋으며, 반대로 35mg 이상 과잉 섭취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아연을 과량 복용할 경우 미각·후각 손실, 오심 등 다양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보충제로 아연을 섭취한다면 의료진과 상의하도록 한다.

보충제 대신 아연 함량이 높은 식품들을 챙겨 먹는 것도 방법이다. 완두콩이나 보리, 현미, 붉은 살코기, 꽃게, 꼬막 등이 대표적이다. 보리, 현미, 완두콩을 넣은 잡곡밥이나 꽃게, 소고기 등을 이용한 반찬을 섭취하면 하루에 필요한 아연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다. 굴 또한 아연의 가장 좋은 급원 식품 중 하나다. 굴 6개(80g)를 섭취하면 일일 아연 섭취 권장량이 충족된다. 소고기, 돼지고기와 같은 동물성 식품은 아연 함량과 흡수율이 높은 반면, 전곡류, 콩류 등 식물성 식품은 아연 흡수율이 낮다. 아연은 가공된 시리얼에도 많이 함유돼 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