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화이자 맞은 16~17세, 가장 많이 겪은 부작용은?

신은진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우리나라 16~17세 청소년은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두통을 가장 많이 겪었다. /게티이미지뱅크
청소년 대상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이어지는 가운데 최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안전접종관리반은 '소아·청소년(16~17세) 대상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감시 현황'을 공개했다. 우리나라 16~17세 청소년은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어떤 부작용을 겪었는지 알아보자.

◇두통·흉통 호소 761건… 아나필락시스는 11건

10월 18일부터 11월 6일까지 16~17세를 대상으로 총 51만9005건의 화이자 백신 1차 접종을 완료한 결과, 가장 많이 신고된 부작용은 두통이었다. 예방접종관리시스템을 통해 11월 6일까지 총 1525건의 이상반응이 신고됐는데, 일반 이상반응은 총 1497건이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두통 27.52%(412건), 흉통 23.31%(349건), 어지러움 15.43%(231건), 근육통 15.36%(230건), 메스꺼움 13.83%(207건) 순으로 비율이 높았다.


아나필락시스 의심과 주요 이상반응을 포함하는 중대한 이상반응은 총 28건이었다.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39.29%(11건)로 가장 많았고, 경련 및 발작 17.86%(5건), 급성마비 14.29%(4건) 순으로 나타났다. 신고 당시 입원치료 중으로 신고된 경우는 총 31건이었다. 소아·청소년에서 화이자 백신 접종 후 발생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진 심근염과 심낭염의 경우 신고된 사례는 없었으며, 기타 급성 심혈관계 손상으로 1건이 신고됐다. 사망으로 신고된 사례도 없었다.

이는 미국의 12∼17세 소아·청소년 대상 화이자 1차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 결과와 다소 차이가 있다. 미국에서는 일반 이상반응으로 어지러움(21.2%), 실신(14.4%), 메스꺼움(10.4%), 두통(10.0%) 등이 가장 많이 보고됐다. 다만, 우리나라의 보고는 12∼15세 소아·청소년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직접 비교는 어렵다.

예방접종추진단은 "본 결과는 전 소아·청소년 연령을 포함하지 않고 2차 접종이 완료되지 않은 시점의 분석 결과이므로 전 소아·청소년의 인구집단을 대표할 수 없어 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나라는 안전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위해 앞으로도 이상반응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관련 위원회 및 전문가 등과 함께 정보를 공유하고 검토하여 안전한 예방접종을 추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占쎄퓭爰귨옙占쎌삕�좎럩�뺝뜝�덈굦占쎈벨�숅넫臾믪굲 占쎌쥙�∽옙��삕占쏙옙�용쐻�좑옙 占쎌쥙�⒳펺�뗭삕�앾옙�뗭삕占쎄퉮援꿨뜝�뚯쪣占쏙옙

占쎌쥙�⒳펺�뗭삕占쏙옙�뗭삕占쎈끏已�옙醫롫윥占쎈벨�숋옙占쎌굲壤깍옙占쎈뜄�됧뜝�뚯쪣占쏙옙 占쎌쥙�⒳펺�뗭삕占쎈벊彛띶뜝�덇턂占쎈틶�앾옙�덉굲�좎럩�쒙옙�쇱삕�ル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