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나도 혹시 '공황장애'?… 단순 불안과의 차이점

전혜영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어떠한 계기로 인해 발생하는 불안과 달리, 공황장애는 이유 없이 발생한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공황장애는 많은 유명인이 투병을 고백하며 잘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나도 혹시 공황장애를 겪는 게 아닐까'하고 궁금증을 느끼는 사람이 많다. 인간은 스트레스나 위기 상황에 부닥치면 자연스럽게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데, 이는 공황장애와는 어떻게 다른 걸까? 불안감과 공황장애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본다.

우선 공황장애는 갑작스럽게 무슨 일이 닥칠 것처럼 심각한 불안감을 느끼는 상태를 말한다. 심한 불안 발작과 함께 다양한 신체 증상들이 동반되기도 한다. 단순히 급작스럽게 놀라는 상태가 아닌, 특별히 위협을 느낄만한 상황이 아님에도 신체의 경보 체계가 오작동을 일으키며 '위협'을 느끼는 상황과 마찬가지로 반응하는 상태를 말한다. 갑자기 길을 걷다가, 친구와 대화를 하다가, 식사하다가도 이유 없이 생명을 위협당하는 것만 같은 심각한 공포 상태에 빠지는 것이다.

단순한 불안감과 공황장애의 가장 큰 차이점은 '계기'가 없다는 것이다. 길에서 칼 든 강도를 만난다거나, 중요한 시험을 앞뒀다거나 하는 상황에서는 누구나 어느 정도의 불안감과 공포를 느낄 수 있다. 그러나 공황장애는 대부분 아무런 이유 없이 찾아온다. 또한 불안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천천히 심화되고, 상황이 극복되면 천천히 나아진다. 이와 달리 공황장애는 갑작스럽게 발생했다가, 갑작스럽게 괜찮아지는 경우가 많다.

단순한 불안도 정도가 심하면 '불안장애'로 진단할 수 있다. 공황장애도 크게 보면 불안장애의 한 종류인데, 이유가 있는 불안 상태라고 하더라도 남들보다 과도한 경우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흔히 '강박증'이라고 불리는 강박장애도 불안장애의 한 종류다. 현관문이나 창문이 잠겼는지 하루에도 수십 차례 확인하거나, 더럽다는 생각에 자꾸만 손을 씻는 등 강박 행위를 살펴보면 불안감을 해결하기 위해 극단적인 방법을 찾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공황장애를 비롯한 불안장애는 대부분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요법 등이 주를 이룬다. 불안장애는 우울감과도 연관된 경우가 많아 환자 상태에 따라 항우울제와 항불안제를 함께 처방한다. 항불안제는 6개월 이상 장기간 복용할 경우 약물 의존성이 생길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상태가 나아졌다는 생각에 맘대로 용량을 줄이거나 중단해서는 안 된다. 치료 효과가 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갑작스럽게 재발할 가능성도 높다. 인지치료 또한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수개월 이상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정신과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치료를 중단할 것을 권한다.




嶺뚮씭�섓옙占� �곌랬�� �좎럥�삼옙占�

�좎떬�낅츩�브퀗�h땻占� �좎럩裕놅옙��쇿뜝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