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심장내과 정욱진교수

가천대 길병원이 인천 및 서해권역 최초로 인공심장(LVAD: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좌심실보조장치) 수술에 성공했다.

가천대 길병원 심부전센터는 지난해 12월 12일, 심장이식이 필요한 말기 심부전 환자에게 인공심장을 성공적으로 이식했으며, 35번째 이식대상이 된 이 환자는 수술 후 관리 및 교육을 받고 최근 무사히 퇴원했다고 4일 밝혔다.

이로써 인천 및 서해권역 내 심장이식이 어려운 환자들도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새로운 길이 열렸다. 말기 심부전 환자가 인공심장을 사용하면 2년 생존율은 80%로, 약물치료보다 높다. 과거에는 치료비와 이식비용에 대한 부담이 컸지만, 지난해 9월말부터 인공심장 장치 건강보험 적용으로 환자는 본인 부담 5%만 지불하고 이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이번에 이식받은 20대 남성은 심근염에 의해 심장 기능에 문제가 생겨, 신체 곳곳에 충분한 혈액을 전달하지 못하는 말기 심부전 환자였다.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다 보니, 계단만 올라도 숨이 차 운동부족과 피로감에 시달려왔다. 그러나 장기 기증 부족으로 7개월째 강심제 주사에 의존하는 상황이었다.

길병원 심부전센터 심장내과 정욱진, 최하늘 교수가 환자 선정과 수술 전 준비를, 흉부외과 박철현, 이석인 교수가 인공심장을 환자의 좌심실에 이식했다. 흉부외과 박철현 교수는 “인공심장 이식은 기존 심장과 완벽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오차 없이 성공적으로 자리 잡았다”며 “현재 좌심실 기능을 수행하고 있어 환자는 일반인과 같은 수준으로 건강을 회복했다”고 말했다.

수술 후 관리와 앞으로의 치료는 심장내과 정욱진, 최하늘 교수가 맡았다. 현재 이 환자는 영양 상담과 재활 교육을 함께 충분히 받았고, 무사히 퇴원했다. 심장내과 정욱진 교수는 “이제 혼자서 계단도 걷고, 운동도 할 수 있을 정도로 상태가 호전됐다”며 “인공심장을 이식받으면 혈전발생과 감염 등이 생길 수 있어 면밀한 관찰과 올바른 인공심장 사용이 중요하기 때문에 환자 교육이 함께 이뤄졌다”고 말했다.

심부전센터 정욱진 교수는 “말기 심부전 환자들은 심장을 기증해줄 기증자가 언제 나타날지 모르는 상태에서 약물 조절 등에 의지해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내야 했다”며 “앞으로 많은 심부전 환자들이 인공심장을 통해서 새 생명을 얻고, 향후 이뤄질 심장이식을 건강한 신체와 마음으로 기다릴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가천대 길병원 심부전센터는 1997년 흉부외과 박국양 교수가 아시아 최초로 심폐동시이식을 시행한 후 35차례의 심장이식을 비롯한 고난이도 말기 심부전치료를 선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