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좌측에서 세번째부터 순서대로 김재호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이사장, 염재호 고려대학교 총장, 이기형 고려대학교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나춘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우회장/ 고려대의료원 제공

올해로 의과대학 90주년을 맞은 고려대의료원이 지난 12일 고려대 인촌기념관에서 비전선포식을 가지고, 미래의학을 선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고려대의료원은 ‘생명존중의 첨단의학으로 인류를 건강하고 행복하게 한다’는 미션을 공개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바이오메디컬 융복합 연구를 통한 새로운 혁신의 역사를 만들며 인류를 건강하게 만들겠다는 새로운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고려대의료원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두 개의 연구중심병원을 보유했으며, 의료계 최초로 의료기술지주회사 자회사를 설립하는 등 바이오메디컬 융복합 연구의 선두주자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연구역량을 바탕으로 미션을 실현하겠다는 구체적인 의지를 담아 ‘미래의학, 우리가 만들고 세계가 누린다(Enabling Future Medicine)’는 비전도 발표했다.

비전을 현실로 만들기 위한 네 가지 핵심 전략도 공개했다. ‘융합형 창의 인재교육’을 통해 의학은 물론 다양한 전문분야의 인재들과 협업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갈 미래 인재를 양성하고, ‘바이오메디컬 산업의 글로벌 리더’로서 민족과 국가의 번영에 기여하는 책임과 의무를 다하며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차세대 국가 성장동력을 만들어갈 계획이다. 세계 의학계의 화두인 정밀의료를 견인하고 ‘개인 맞춤형 특화진료’ 실현을 통해 국민들에게 새로운 차원의 특별한 진료경험을 제공하며, ‘사람 중심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하는 의료기관으로서 의료소외계층, 사회적 약자에게 차별없는 사랑을 실천할 것이다.

미래형 병원의 청사진도 제시했다. 고려대의료원이 말하는 미래형 병원은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인 IoT, A.I, MR, 빅데이터 등의 첨단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인텔리전트 병원(Smart Intelligent Hospital)이다. 고려대의료원은 지난해 착공한 총 공사비 약 3,500억 원 규모의 최첨단융복합의학센터를 비롯해 산하 각 병원 모두를 미래형 병원의 표준으로 만들 계획이다. 그 미래의 모습을 영상으로 시연하며 비전선포식 참가자들의 뜨거운 박수갈채를 받았다.

차세대 바이오메디컬 분야를 이끌어갈 10가지 기술을 선정하고 이를 공개하여 많은 관심을 받았다. 고려대의료원은 ▲암 정밀 진단·치료(Cancer Precision Medicine Diagnosis and Treatment) ▲클라우드형 공유 병원정보시스템(Post/Precision/Personalized –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I 기반 신약 설계(AI-based Drug Design) ▲체액생검(Liquid Biopsy) ▲휴먼 마이크로바이옴(Human Microbiomes) ▲유전자 가위(Genome Editing) ▲페이션트 온 어 칩(Patient-on-a-chip) ▲3차원 장기 프린팅(3D Organ Printing) ▲착용형 소프트 로봇(Wearable Soft Robot) ▲메모리 에디팅(Memory Editing)으로 구성된 10가지 기술을 통해 앞으로 공상과학영화나 상상으로 가능했던 미래의학을 현실화할 것이다.

염재호 총장은 “학교와 의료원이 가진 인프라와 인적역량을 바탕으로 바이오메디컬 분야를 선도하고, 대한민국의 핵심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기형 의무부총장은 “고려대학교의료원이 모두가 꿈꾸고 상상하는 미래의학을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고려대학교의료원은 산하에 의과대학, 안암·구로·안산 3개 병원에 총 7,000여명이 넘는 교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고대의료원은 그 어떤 대형병원보다도 두드러진 성장세를 거듭하며 의료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10년 전인 2008년 약 5,200억 원이던 고려대의료원의 예산규모는 올해 1조 2,800억 원을 기록하며 10년 간 두 배 넘는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이미지
고려대의료원 최첨단융복합의학센터 조감도/ 고려대의료원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