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새끼발가락 휘는 '소건막류', 방치하단 허리·무릎까지 부담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새끼발가락이 휘어져 있고 걸을 때마다 통증이 심하다면 소건막류를 의심해야 한다. 사진=헬스조선DB

새끼발가락이 빨갛게 부으면서, 자주 물집이 생기고 걸을 때마다 통증이 생긴다면 '소건막류'를 의심해야 한다.

소건막류는 새끼발가락이 돌출되는 질환이다. 새끼발가락 뼈가 휘어서 돌출되거나 뼈 자체의 변형 또는 네 번째 발가락과 새끼발가락 사이가 벌어지기 때문에 나타난다. 무지외반증과 마찬가지로 하이힐이나 꽉 끼는 신발이 주된 원인이다. 앞코가 뾰족하고 높은 신발을 신으면 무의식적으로 새끼발가락에 힘을 주게 된다. 이런 상태로 걸으면 새끼발가락 관절이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튀어나온 새끼발가락은 신발과 닿아 통증을 일으킬 뿐 아니라 반복적인 마찰로 인해 증상이 심해진다. 바닥에 앉는 습관도 소건막류를 유발하는 요인 중 하나다. 또한, 발가락 통증 때문에 무게 중심이 흐트러져 무릎·골반·허리·어깨·관절 등에 부담이 간다. 

발가락 관절이 휘는 질환이기 때문에 소건막류 역시 무지외반증과 치료법이 비슷하다. 발가락 휜 정도가 심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특수 신발을 신거나 특수 제작된 깔창을 사용하는 보존적 치료를 하면 된다. 돌출이 심한 사람의 경우 뼈를 깎거나 관절 윗부분에서 새끼발가락을 안쪽으로 밀어주는 수술로 치료한다. 소건막류 예방에는 평소 발가락에 무리를 주지 않는 것이 핵심이다. 발볼이 넓은 신발을 신고, 새끼발가락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구두 안쪽에 충격을 흡수하는 스펀지를 대는 것이 좋다. 꽉 끼는 신발을 신고 외출한 날은 틈틈이 발 스트레칭이나 마사지 등을 해주는 것이 족부질환 예방에 도움된다. 그리고 평소에 스카프 등을 발바닥에 걸고 양손으로 당겨 주는 스트레칭을 하면 좋다.




�꿔꺂��옙占쎌삕占쎈낌�뺧옙醫묒삕 �좎럡�쀯옙��쇿뜝占� �좎럩伊숋옙恝�숋옙�깆굲占쎌쥜��

占쎌쥙�э옙�낆릇占쎈툕�쀯옙節덈빝�좑옙 占쎌쥙�⑵짆�낆삕占쏙옙�용쐻�좑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