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침 삼킬 때 목이 따끔, 감기 아니라 '편도선염'?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환절기에 목이 아프고 기침이 심하다면 편도선염일 수 있다/사진=헬스조선 DB

환절기에 목 안쪽이 따끔거리나 열이 난다면 편도선염을 의심해야 한다. 편도선염은 목의 안쪽, 코 뒷부분에 있는 조직인 '편도'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다. 편도는 몸 바깥에서 침입한 세균 등으로부터 일차적으로 몸을 방어하는 기능을 한다. 봄철에는 날이 건조하고 미세먼지나 꽃가루가 떠다녀 편도에 염증이 생기기 더욱 쉽다.

편도선염은 급성편도선염과 만성편도선염으로 나뉜다. 급성편도선염은 목젖 양쪽에 있는 구개편도에 생기는 급성 염증이다.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데, 편도가 붓기 때문에 음식이나 침을 삼킬 때 아프다. 39~40도의 고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거나 팔다리가 쑤시기도 한다. 만성편도염은 편도가 지속되는 것으로, 편도에 항상 세균이 머물러 있는 게 원인이다. 1년에 3번 이상 편도선염을 앓는 사람이면 만성편도선염일 가능성이 있다.

편도선염에 걸리면 기침과 고열에 시달리고 목이 아파 식욕이 떨어진다. 대부분 4~6일이 지나면서 점차 나아지는데, 낫지 않고 염증이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편도가 딱딱하게 굳는 편도결석으로 이어질 수도 있고, 염증이 편도 주변 부위로 퍼져 편도 주위 농양이 생길 수도 있다. 심한 경우 성대와 이를 둘러싼 후두에 염증이 생기는 후두염이나 패혈증(전신에 심각한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상태)으로 악화된다. 편도선염은 특히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와 노인이 걸리는 경우가 많은데, 기침 때문에 제대로 식사를 못 해서 탈수나 영양 불균형을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편도선염은 초기에 치료해야 한다. 하지만 감기와 헷갈려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단순 환절기 감기라고 생각하고 넘겨서 합병증이 생긴 후에야 병원을 찾는 것이다. 감기 증세와 함께 3일 넘게 38도 이상의 열이 지속되거나, 호흡이 가빠지고 심장 박동이 급격히 증가하면 바로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토할 정도로 기침이 심할 때도 마찬가지다.

편도선염 초기에는 처방받은 항생제와 진통·소염제를 먹고 충분히 휴식을 취하는 것만으로도 나을 수 있다. 약을 먹어도 1년에 4~5번 이상 편도선염이 생기면 수술도 고려한다. 특히 만성 편도선염은 약물만으로는 효과를 보기 어려워서 편도절제술을 권장하기도 한다. 수술시간이 30분 정도인 비교적 간단한 수술인데, 수술한다고 해서 편도선염에 무조건 걸리지 않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감기나 편도선염에 걸렸을 때 목의 통증이 크게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폐를 건강하게 하는 생활습관을 실천하는 것도 편도선염을 예방한다. 폐가 약해져 폐렴균이 많아지면 편도선에도 영향을 미쳐 염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등산, 달리기, 수영, 자전거 타기와 같은 유산소운동을 하면 된다. 유산소운동은 몸 안에 충분한 양의 산소를 받아들여 폐의 혈관조직을 강하게 한다. 편도선은 몸의 컨디션에 민감해 평소 무리한 활동을 줄이고 스트레스를 피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물을 조금씩 자주 마셔 편도 점막 건조하지 않게 관리하고 금연·금주해야 한다. 특히 황사나 미세먼지로 바깥 공기가 탁할 때는 외출 후 손을 깨끗이 씻고 소금물로 목을 헹구는 게 안전하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