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발표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척추질환 진료인원은 2007년 약 895만명에서 2014년 약 1260만명으로 365만명 증가하였으며, 우리나라 국민 4명중 1명은 척추관련 증상으로 인해 병원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질환 건수는 2007년에서 2014년 88.4% 증가했고, 진료비는 2007년에서 2014년 95.2% 증가했다. 2014년 척추질환은 남성이 약 520만명(41.7%), 여성이 약 730만명(58.3%)으로 여성의 비중이 더 높았다.
척추수술 건수는 2014년 약 15만5천건이며, 2012년까지는 수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2013년부터는 감소 추세로 2014년은 전년 대비 수술 건수(10%), 진료비(9%)가 각각 감소하였다.
척추질환 분석 결과, 최근 들어 척추질환의 빈도는 노인 인구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인구고령화에 따른 척추질환은 계속 증가될 전망이다.
척추 질환은 대부분 치명적이거나 심각한 손상 또는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보다는 주로 통증을 동반한 고통 및 생활의 지장을 나타내게 된다.
퇴행성 변화에 따른 척추 질환이나 골다골증성 골절 등의 치료에 대해 보존적 요법의 중요성은 그 동안 꾸준히 강조되면서 최근에는 수술사례가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심사평가원 김동준 전문심사위원은 “수술 전 보존적 요법의 중요성 등을 강조하고, 수술 적정성 여부에 대한 영상자료 확인 등 심사를 통해 적절한 척추질환 치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