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애 낳고 미역국 꼭 먹어야 하나?
이미진 헬스조선 기자 | 참고서적=대국민 한의학 지식사전
입력 2012/08/08 09:32
한국에서는 산후조리하는 산모들이 미역국을 먹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미역국은 대체 산모에게 어떤 효능이 있고, 얼마나 먹어야 몸에 좋은 것일까?
미역은 요오드 성분이 많아 출산할 때 잃어버렸던 혈액을 보충하고, 탁해진 혈액을 맑게 해준다. 또, 흡수가 잘 돼 위의 기능이 떨어진 산모에게 안성맞춤이다. 이외에도 젖의 분비를 도와주고 부종을 가라앉히는 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미역국을 오랫동안 먹을 필요는 없다. 보통 “출산 후 미역국은 삼칠일”이라는 속설이 있다. 약 3주 정도 되는 기간은, 태반이 떨어져 나온 자리에서 자궁 내막이 재생되는 과정이기 때문에 몸에 좋은 미역국을 오래 먹으라는 의미이다.
속설만 믿고 3주 간, 하루 세끼를 똑같은 미역국으로 먹다보면 질릴 수 있다. 이때는 부재료를 활용해 국의 맛을 바꾼다. 국거리 재료에 따라 홍합, 쇠고기, 사골을 이용해 미역국을 끓여 다양한 맛과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중, 홍합은 하복부 응어리가 뭉치면서 냉기가 도는 산모들에게 좋다. 미역에 홍합을 넣으면 같은 해산물이라 음식도 담백하고 깔끔해서 산모의 식욕을 돋운다. 단백질이 모자라거나 임신중독증 때문에 소변으로 단백질이 빠져나오는 산모라면 쇠고기·사골 미역국을 먹는다. 산모는 뼈가 많이 약해져 있기 때문에 멸치 미역국을 먹어도 좋다.
이밖에 반찬으로 생선, 닭고기, 달걀 등 동물성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많이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