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알레르기가 있는데 애완동물 키워도 될까요?

서영란 기자 | 사진 조은선 기자

- 2005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전 인구의 15% 정도 알레르기 질환'
- 생활수준의 향상, 핵가족화 등으로 애완동물에 대한 수요 증가
- 하버드 의과대학 ‘동물 알레르기 피하는 법’ 제안

국내 동물 알레르기 환자 분포도 높은 편

피부 가려움증, 콧물, 결막염 등 증상과 원인이 다양한 알레르기는 현대인이 빈번하게 앓고 있지만 완치가 쉽지 않은 질환이다. 1993년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자료에 의하면 알레르기 환자에서 고양이와 개에 대한 피부반응검사 양성율이 외국은 15~30%, 국내에서는 17~35%에 달했다. 1998년부터 2001년까지 경희의료원 알레르기 클리닉을 방문한 170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MAST 검사를 한 결과, 하나 이상의 항원에 양성 반응을 보인 1122명 중, 고양이와 개에 대한 양성 반응은 각각 20%, 11.2% 수준이었다.

털이 아닌 비듬, 침, 배설물 단백질이 원인 

동물알레르기는 많은 사람들이 동물의 털이 원인이라고 알고 있지만 실은 털뿐 아니라 비듬, 침, 배설물 등에 있는 미세한 단백질이 원인이다. 이 단백질은 매우 끈끈해서 한번 달라붙으면 잘 떨어지지 않아 제거하기 힘들다.

개보다 수시로 그루밍(털 고르기)을 해 깨끗하게 느껴지는 고양이에 대한 알레르기가 많다는 점은 다소 의아해 보인다. 청결해 보이는 이 그루밍 습관이 알레르기 반응의 원인이 된다. 고양이가 직접 털 관리를 하기 때문에 개에 비해 목욕시키는 횟수가 적고, 혀로 털 관리를 하다 보니 침 속의 단백질이 온몸에 묻기 때문이다.

동물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이 애완동물을 포기하지 않고 키우려면 알레르기가 없는 사람보다 부지런해야 한다. 알레르겐을 완벽하게 제거하기란 불가능하지만 수시로 청소, 세탁해 그 수를 줄이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제안한 ‘동물 알레르기 피하는 법’을 소개한다.




이미지

Know-how 1. 애완동물을 침실에 들이지 마세요

동물의 비듬, 침, 배설물 등에 있는 단백질은 침구에 붙어 세탁 전까지 제거되지 않고 알레르기의 원인이 된다. 세탁 후에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는 알레르겐이 있을 정도다. 애완동물이 아무리 사랑스럽더워도 함께 잠을 자는 일을 피하고 집을 비웠을 때 침실에서 휴식을 취하게 해서도 안 된다.

Know-how 2. 거실에 있는 카펫을 치워요

거실에 온기를 더해주는 카펫은 애완동물도 좋아한다. 애완동물이 뒹구는 사이 카펫 위로 비듬 등 알레르겐이 무수히 떨어지고, 비듬과 각질 등을 먹고 사는 집먼지 진드기가 번식해 또 다른 알레르겐이 된다. 털과 비듬이 떨어지는 것을 줄일 수 있게 애완동물에게 옷을 입히는 것이 도움이 된다. 단 애완동물이 즐겨 사용하는 방석 등과 함께 1주일에 한 번 이상 세탁한다.

Know-how 3. 헤파 필터 가전제품을 사용해요

집안에 헤파 필터가 장착된 공기청정기를 가동하고, 최소한 1주일에 두 번은 헤파 필터가 장착된 진공청소기로 집안을 청소한다. 자주 환기해 실내 공기를 청결히 유지하고 청소할 때는 바닥뿐 아니라 쿠션, 소파, 러그 등 집안에 있는 모든 패브릭 제품까지 진공청소기로 깨끗이 빨아들인다. 정기적으로 청소해 관리해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Know-how 4. 1주일에 한 번은 목욕시켜요

애완동물은 깨끗해 보여도 1주일에 한 번 목욕을 시키자. 비듬, 해충, 진드기 등을 줄여주는 약용 샴푸를 사용한다. 너무 잦은 목욕은 연약한 애완동물의 피부를 상하게 할 수 있다. 자주 목욕시킬 수 없다면 무향 저자극 아기용 물티슈로 애완동물을 깨끗이 닦는다. 동물 알레르기와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기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사람은 집먼지 진드기의 번식을 막아 주는 애견용 스프레이를 정기적으로 뿌려준다.

Know-how 5. 청소하기 쉬운 환경을 꾸며요 

청소가 가장 중요한 만큼 청소하기 쉬운 환경으로 꾸미는 것도 방법이다. 실내에 너무 많은 물건이 바깥으로 나와 있으면 알레르겐이 모여 있기 쉽다. 먼지가 쌓이기 쉬운 가구는 최소 1주일에 2회 청소하고, 애완동물의 배설물은 다른 곳에 묻지 않도록 즉시 치우고 깨끗이 닦아낸다.

Know-how 6. 알레르기를 덜 일으키는 애완동물을 키워요

동물 알레르기가 있어도 애완동물을 키우고 싶은 사람이 있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첫째 딸도 그중 하나로 ‘퍼스트 도그’로 최종 선정된 ‘포르투갈 워터 도그종’도 알레르기를 적게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바마 가족의 고양이 중 알레르기를 덜 일으킨다고 알려진 품종은 ‘데본렉스’로 짧고 곱슬거리는 털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알레르기를 적게 일으키는 애완동물은 크기가 작고 털이 적으며 털갈이를 하지 않는 종이다.

도움말 박찬권(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