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스트레스가 혈관에 미치는 영향

혈압 높이고 염증 일으켜 동맥경화증 유발

침팬지 집단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우두머리에서 물러난 침팬지는 수명이 짧다고 한다. 우두머리까지 올랐다면 체력이나 지능 등이 뛰어났을 텐데 왜 그럴까. 연구결과 우두머리에서 물러난 침팬지들은 공통적으로 혈중 ‘코티졸(cortisol)’ 농도가 높았다. 미국의 20대 빈민층 흑인과 중산층 백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보면 흑인 청년 그룹의 혈중 ‘인터루킨(interleukin)-6’의 농도가 백인보다 높았다.

두 연구에 등장하는 코티졸과 인터루킨-6라는 물질은 스트레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침팬지는 우두머리에서 물러난 스트레스로 코티졸 농도가 높았고, 흑인 청년들은 좌절감, 분노 등으로 인터루킨-6가 높게 나왔다.

코티졸은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일종으로 염증이나 알레르기를 이길 수 있도록 해준다. 하지만 코티졸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가 지속되면 고혈압, 당뇨, 비만, 고지혈증 등이 복합된 대사증후군을 불러온다.

일반적으로 코티졸이 가장 많이 분비되는 경우는 피를 흘릴 때다. 출혈은 자칫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 큰 스트레스 요인이다.




이미지

피를 흘리면 코티졸이 분비돼 피를 몸 안에 비축하기 위해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이 올라간다. 다른 스트레스도 비슷한 증상을 나타낸다. 그 과정을 보면 스트레스는 먼저 뇌의 시상하부를 자극한다. 시상하부는 콩팥 옆 부신피질에 신호를 보내 코티졸 분비를 촉진한다. 과도한 코티졸은 인슐린 저항성, 복부비만 등에 의한 대사증후군을 초래한다.〈그래픽 참조〉

스트레스는 다른 경로로 교감신경에도 작용해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등 신경전달 물질 분비를 촉진, 세포에 산화 스트레스를 주거나 염증을 일으키고 인슐린 저항성을 초래해 대사증후군을 가중시키며, 이는 동맥경화증의 원인이 된다.

스트레스가 직접 혈관에 염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혈관 내피세포의 표면이 거칠어져 세포 사이로 백혈구, 콜레스테롤 등이 침투하기 쉽다. 염증이 생기거나 해로운 물질이 몸 안에 들어오면 대식세포가 이를 인지하고 인터루킨-6를 방출해 백혈구를 활성화시킨다.

정상적인 경우 밤 12시부터 새벽 3시 사이에 인터루킨-6가 많이 생성됐다가 사라진 뒤 4~5시간 있다가 코티졸이 분비된다. 한밤 중에 인터루킨-6가 생성되는 이유는 낮에 생긴 염증을 잠자는 동안 치료하기 위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따라서 인터루킨-6는 낮에는 거의 생성되지 않는다. 그런데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 사람들은 새벽 5시부터 오전 9시 사이에 인터루킨-6가 생성되며, 그 양도 많다. 이 인터루킨-6는 혈관에 염증을 일으켜 동맥경화증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스트레스의 종류는 분노, 좌절, 죄의식, 슬픔, 피곤, 자살충동, 불면증, 만성통증, 우울증 등 다양하다.

연세대 노화과학연구소 조홍근 교수는 “스트레스의 하나인 수면장애는 심혈관 질환 위험을 1.82배, 심근경색증을 1.89배 높인다는 연구가 있다. 스트레스 조절은 동맥경화증 예방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 임형균 헬스조선 기자 hyim@chosun.com




직무스트레스 얼마나 받고 있나 체크해 보세요

>>스트레스 반응 0점 전혀 아니다, 1점 가끔 그렇다 2점 자주 그렇다, 3점 꽤 자주 그렇다, 4점 거의 항상 그렇다

1. 나는 업무에 대해 거의 열정을 느낄 수가 없다
2. 나는 충분히 잠을 자는데도 피곤하다
3. 내 업무에 따르는 책임을 모두 수행하는데 화가 난다
4. 나는 조금만 불편해도 기분이 가라앉고 짜증이 나며 참을 수가 없다
5. 내 시간과 에너지를 계속 쏟지 않고 싶다
6. 내 업무가 하찮고 쓸데없는 것 같아 우울하다
7. 내 의사결정 능력이 평상시보다 저하된 것 같다
8. 나는 필요한 만큼 유능하지 못한 것 같다
9. 내가 하는 업무의 질이 필요한 정도에 이르지 못한다
10. 나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모두 지쳐 있다
11. 나는 질병에 걸리기 쉬운 상태이다
12. 나는 성생활에 대한 관심이 적어졌다
13. 식사량이 달라졌고 커피, 찬 음료, 술을 더 마시고 담배도 더 핀다
14. 나는 다른 사람들의 문제나 요구에 대해 무감각해져 있다
15. 나는 직장상사, 동료 친구나 가족들과 말할 때 뒤틀려 있다
16. 나는 잘 잊어버린다
17. 나는 집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18. 나는 쉽게 지루해 진다
19. 나는 불만족하고 어딘가 잘못된 것처럼 느낀다
20. 왜 일하느냐고 자문하면 월급 받기 위해서라는 답이 나온다

점수 0~25점
상태: 적응을 잘하고 있음, 조치: 특별한 조치가 필요 없음

점수 26~40점
상태: 스트레스가 있음, 조치: 예방적 행위가 필요함

점수 41~55점
상태: 소진의 위험이 있음, 조치: 소진을 막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

점수 56~80점
상태: 소진상태임, 조치: 포괄적인 스트레스 관리 계획이 필요함

(서울백병원 스트레스클리닉 제공)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