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비인후과
응원하다 쉰 목, 따뜻한 물과 소금물 가글이 비결
입력 2006/05/29 21:04
“대~한 민국!” 며칠 뒤면 집에서, 혹은 거리에서 뜨거운 응원의 목소리가 울려 퍼질 것이다. 목청껏 외치는 응원의 소리는 쌓였던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지만, 길게는 4시간 이상 계속해서 소리를 지르다 보면 다음날 목이 쉬거나 아예 목소리조차 안 나오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맑고 아름다운 목소리는 후두라고 일컫는 음성상자 속에서 주로 성대의 고른 진동(남자는 1초에 100~150회, 여자는 200~250회)에 의해서 만들어진 다음 이것이 구강, 코, 인두, 부비동 등에서 공명이 되고 다시 구강 내의 혀, 입술, 치아, 목젖 등의 위치 및 운동에 의해 각자 다른 목소리를 낸다.
그런데 오랜 시간 과도하게 소리를 지를 경우 성대의 심한 마찰로 후두에 염증이나 외상 등이 생기는 급성 후두염이나 성대를 움직이는 근육의 신경 장애, 그리고 발성기관의 과로 등이 생기기 쉬워 목이 쉬거나(애성), 목이 잠기게 되어 병적인 목소리가 나오게 된다. 게다가 흥분하면 자신도 모르게 목에 힘이 들어가고, 소리를 지르는 횟수가 잦아진다. 특히 잠을 자야 할 시간인 밤이나 새벽에 소리를 목청껏 지르게 되면 우리의 목은 피로해져 금방 부어오르게 된다.
가장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질환 중 하나가 목소리 잠김, 즉 쉰 목소리(애성)가 나는 것이다. 목이 쉬고 꺼칠하며 바람 새는 듯한 목소리가 나는 것은 지나치게 목을 많이 사용해 부종이나 미세 출혈이 생겼기 때문이며, 목에 힘을 주어 쥐어짜는 듯한 거친 목소리는 후두근이 지나치게 긴장 수축한 것으로 성대의 잘못된 사용이 원인이다.
물론 목소리가 변했을 때 가장 쉬우면서도 중요한 치료방법은 성대를 쉬게 하는 것이다. 즉, 가능한 말을 하지 않는 것으로 특히 장시간 말하거나 큰 소리, 극단적인 고저음, 습관적인 헛기침은 하지 않도록 하며, 감기 등으로 인한 기침은 빨리 치료하는 것이 좋다.
목소리가 쉬었을 때 프로폴리스나 목캔디 등을 먹는 사람이 많은데 이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성대를 마르게 하는 성분이 있기 때문. 녹차, 커피, 홍차 등 카페인 성분이 있는 음료와 술, 담배 또한 성대를 마르게 하기 때문에 삼가는 것이 좋다. 쉰 목소리가 2주 이상 지속된다면 성대질환이 생긴 것일 수 있으므로 병원에 방문해 정밀 진단을 받아봐야 한다.
을지대학병원 이비인후과 이주연 교수는 “불가피하게 음성 장애가 왔을 때에는 술, 커피, 담배 등을 피하고 물을 자주 마셔 목의 점막을 마르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목이 쉰 증상이 2~3주 이상 지속되거나, 목소리가 전혀 나오지 않을 때, 심한 목소리의 변화가 있을 때, 목의 이물감이나 통증이 지속될 때는 단순한 후두염인지 혹은 성대에 결절이나 혹이 생겼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응원도 좋지만 아침부터 목이 잠겨서 힘들다면 하루의 기분이 좋을 리 없다. 회의를 하거나 전화를 받기도 힘들어 업무에도 지장을 주기 쉽다. 경희대한방병원 안이비인후과 남혜정 교수는 “특히 성대를 보호해야 하는 사람은 응원 전에 미리 따뜻한 음료를 준비해놓고 있다가 관람하면서 조금씩 마시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경기에 집중해야 하는데 물 마실 시간이 어디 있냐고? 남 교수는 “최소한 잠자리에 들기 전에 한 번 더 양치질을 하고, 따뜻한 물 1컵 분량에 소금 1스푼을 넣고 잘 저은 후 가글해서 뱉어내면 목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 헬스조선 편집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