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소금물로 눈을 씻으면 깨끗해진다?

김정은 헬스조선 인턴기자

이미지

헬스조선 DB

봄은 바람에 휘날리는 꽃가루 뿐 아니라 황사 등으로 알레르기성 질환을 일으키기 쉬운 계절이다. 특히 눈은 외부 환경에 민감하게 작용하는 취약한 부분이다. 작은 먼지나 꽃가룰 등이 눈에 들어가면 각결막 상피세포를 덮고 있는 막을 자극해 손상을 주기도 한다. 봄철 눈질환에 대해 알아봤다.

◆안구건조증 환자 이물감 더 느껴

봄에 날리는 꽃가루나 미세 먼지는 눈을 피로하게 해 쉽게 충혈된다. 이는 눈물이 많이 흐르거나 눈 속 모래알이 들어간 것처럼 이물감을 느끼게 한다. 눈 주위가 부어오르는 경우도 있는데, 각막상피가 벗겨진 경우는 심한 통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안구건조증 환자는 눈물 분비가 적어 이물감을 심하게 느낄 수 있다. 심하면 결막염에 걸릴 수 높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콘텍트 렌즈는 염증 가능성 높이므로 주의

전문의들은 눈질환은 치료보다 예방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꽃가루가 날리거나 황사가 심할 때는 외출을 삼가고, 콘택트렌즈보다는 안경을 쓰는 것이 좋다. 콘택트렌즈 불순물로 세균이 번식할 경우 먼지로 생긴 각막 상처에 염증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게 된다면 선글라스 같은 보안경으로 눈을 외부 먼지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좋다. 강남밝은세상안과 김진국 원장은 “외출 후 이물감이 느껴지면 생리식염수로 눈을 씻어주거나 인공눈물을 눈에 넣어주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소금물로 씻으면 오히려 눈 자극

소금물로 씻으면 눈을 청결해진다는 속설로 간혹 소금물로 눈을 닦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눈에 자극을 줘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피해야 한다. 또한 이물감이 있다고 눈을 비비는 행동은 삼가야 한다. 각막 표면에 상처를 입혀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김진국 원장은 “라식·라섹 수술을 받았다면 각막 보호에 신경 써야 한다”며 “충혈이나 이물감은 자연스레 없어질 수 있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통증이 있다면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도록 한다”고 말했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