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대만에서 엉덩이 부위에 지름 16cm가 넘는 거대한 종양이 있는 신생아가 태어났다.
지난 24일(현지시각) 대만 중톈신문망에 따르면 대만 중부 타이중시에 있는 청칭병원 중강분원 소아외과는 최근 엉덩이에 거대 종양을 달고 태어난 신생아의 수술을 무사히 마쳤다.
산모는 임신 중 시행한 초음파 검사에서 태아의 항문 근처에 4~5cm의 종양이 있음을 확인했다. 임신 33주 차에 태어난 신생아의 종양 크기는 지름 16.5cm까지 확대된 상태였다. 핸드볼 공(지름 18.5cm)보다 약간 작은 크기다. 의료진은 아기가 태어난 지 9일 만에 수술을 진행했다. 제거된 종양의 무게는 530g으로, 태어날 당시 체중(3.44kg)의 약 6분의 1에 해당한다.
해당 종양은 ‘선천성 천미골 기형종’으로 발생률이 3만5000분의 1에 불과한 희귀 질환이다. 발생률은 낮지만 여아에서 남아보다 3~4배 더 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진은 “선천성 기형종은 태아 시기부터 급격히 커질 수 있어 정기적인 산전 검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른 발견이 산모와 아기의 안전한 치료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천미골 기형종은 기형종의 일종이다. 기형종은 몸의 중앙선 부근에 발생하는 종양으로, 대부분 양성이다. 기형종은 두개 내, 천미골(엉치꼬리뼈), 난소, 고환 등 몸의 정중앙선 근처에서 자주 나타난다. 기형종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전문가들은 생식세포에서 자라난다고 추정한다. 기형종은 발생 부위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기형종이 두개 내에서 생긴 경우 뇌압이 상승해 구토, 구역질, 경련, 뇌신경 마비 등을 겪는다. 천미골에 생기면 초음파 검사를 통해 비정상적인 조직이 자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혈관이 막히는 증상이 발견되기도 한다.
양성 기형종은 해당 사례처럼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로 치료할 수 있다. 악성 기형종은 수술과 함께 항암제로 치료해야 한다. 기형종은 발생 부위에 따라 수술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천미골 기형종의 경우 신경 및 혈관의 손상으로 인해 감각 이상, 배변 장애 등의 합병증이 생길 위험이 있다.
지난 24일(현지시각) 대만 중톈신문망에 따르면 대만 중부 타이중시에 있는 청칭병원 중강분원 소아외과는 최근 엉덩이에 거대 종양을 달고 태어난 신생아의 수술을 무사히 마쳤다.
산모는 임신 중 시행한 초음파 검사에서 태아의 항문 근처에 4~5cm의 종양이 있음을 확인했다. 임신 33주 차에 태어난 신생아의 종양 크기는 지름 16.5cm까지 확대된 상태였다. 핸드볼 공(지름 18.5cm)보다 약간 작은 크기다. 의료진은 아기가 태어난 지 9일 만에 수술을 진행했다. 제거된 종양의 무게는 530g으로, 태어날 당시 체중(3.44kg)의 약 6분의 1에 해당한다.
해당 종양은 ‘선천성 천미골 기형종’으로 발생률이 3만5000분의 1에 불과한 희귀 질환이다. 발생률은 낮지만 여아에서 남아보다 3~4배 더 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진은 “선천성 기형종은 태아 시기부터 급격히 커질 수 있어 정기적인 산전 검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른 발견이 산모와 아기의 안전한 치료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천미골 기형종은 기형종의 일종이다. 기형종은 몸의 중앙선 부근에 발생하는 종양으로, 대부분 양성이다. 기형종은 두개 내, 천미골(엉치꼬리뼈), 난소, 고환 등 몸의 정중앙선 근처에서 자주 나타난다. 기형종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전문가들은 생식세포에서 자라난다고 추정한다. 기형종은 발생 부위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기형종이 두개 내에서 생긴 경우 뇌압이 상승해 구토, 구역질, 경련, 뇌신경 마비 등을 겪는다. 천미골에 생기면 초음파 검사를 통해 비정상적인 조직이 자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혈관이 막히는 증상이 발견되기도 한다.
양성 기형종은 해당 사례처럼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로 치료할 수 있다. 악성 기형종은 수술과 함께 항암제로 치료해야 한다. 기형종은 발생 부위에 따라 수술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천미골 기형종의 경우 신경 및 혈관의 손상으로 인해 감각 이상, 배변 장애 등의 합병증이 생길 위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