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항생제 내성이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국민 10명 중 7명은 항생제가 감기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 질병관리청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리서치랩에 의뢰해 올해 3월 27일~5월 7일 전국 만 14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항생제 인식 관련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항생제는 어디에 쓰는 약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8.1%가 '세균 감염 질환 및 바이러스 감염 질환'이라고 답했다. ‘바이러스 감염 질환’이라는 응답도 10.2%였다.

‘세균 감염 질환’이라고 올바르게 응답한 이들은 22.6%에 불과했다. 항생제가 감기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72.0%가 ‘그렇다’(매우 그렇다 6.0%·그렇다 66.0%)라고 답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감기는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이므로 항생제는 감기 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다만, 감기가 오래 이어지면서 2차적인 세균 감염으로 인한 증상이 나타날 때만 제한적으로 사용한다.

항생제를 의사 처방 없이 복용한 적이 있다는 응답자는 16.0%였고, 항생제 복용 중 증상이 나아져 복용을 중단한 적이 있다는 응답자는 63.4%에 달했다. 의사에게 항생제를 처방해달라고 요구한 적이 있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25.1%였는데 특히 남성과 20∼39세 연령층, 만 3∼6세 자녀를 둔 부모 계층에서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와 별개로 의사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89.1%는 항생제 내성 문제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감기 등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 항생제를 처방한 경우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20.8%가 그렇다고 답했는데 그 이유로는 환자 요구(30.4%) 때문이라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항생제 내성은 세균이 항생제에 적응하면서 내성이 생기는 현상이다. 주요 원인은 항생제 오남용으로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다제내성균으로 발전해 공중보건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2023년 기준 국내 항생제 사용량은 튀르키예에 이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위다. 주요 감염병 병원체에 대한 항생제 내성률 또한 OECD 국가 가운데 최상위권 수준이다.

이에 정부는 종합병원 안에서 전담관리팀이 항생제 처방의 적정성을 점검하는 '항생제 적정사용 관리'(ASP) 시범사업을 시작하는 등 항생제 사용량 축소에 나섰다. 항생제 오남용으로 내성균이 증가하면서 이로 인한 직접·관련 사망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