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폐경 이행기 초기에는 저체중 여성의 유방암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여성은 상대적으로 서구권보다 마른 체형이 많아, 40대 후반 유방암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일본 등 아시아 여성은 서구 여성보다 젊은 연령인 40대 후반에 유방암 발생이 정점을 보인다.

강북삼성병원 헬스케어데이터센터 류승호, 코호트연구센터 장유수 교수, 장윤영 박사,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조유선 교수 공동 연구팀은 그 이유를 찾기 위해 대규모 데이터를 살펴보는 코호트 연구를 진행했다.

유방암은 여성호르몬에 영향을 받고, 유방 밀도가 높을수록 발병률이 커진다. 이에 연구팀은 폐경 이행기 여성 4737명을 평균 7년간 추적 관찰해 폐경 이행기 동안의 여성호르몬 변화와 유방 밀도 변화를 확인했다.

폐경 단계는 국제 표준 'STRAW+10' 기준에 따라 네 단계로 분류했다. 유방 밀도는 유방 촬영 영상을 자동분석 프로그램으로 정량화했다. 체질량 지수도 함께 확인했는데, 저체중(<18.5), 정상체중(18.5~22.9), 과체중(23~24.9), 비만(≥25)의 네 개 그룹으로 구분해 비교했다.


분석 결과, 폐경 이행기 초기에 저체중 여성에서 유방암 위험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저체중 여성에서는 폐경 이행기 초기에 여성호르몬과 유방조직 밀도가 일시적으로 상승했다. 반면 비만 여성은 여성호르몬이 감소하고 유방 밀도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류승호 교수는 “한국 여성은 서구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마른 체형이 많은 편인데, 이러한 체형적 특성이 갱년기 초기 호르몬 변화와 맞물리면서 서양 여성보다 빠른 시기에 유방암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장유수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비만도와 호르몬 변화의 상호작용이 한국 여성의 유방암 발생 시기와 연관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며 “이번 연구는 향후 폐경 전후 여성의 체형 및 호르몬 변화에 따른 맞춤형 검진 및 예방 전략 수립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의 ‘갱년기 여성의 만성질환 예방 관리를 위한 전향적 연구’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으며, 2025년 10월 국제학술지 'Breast Cancer Research'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