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투명한 미래가 두려울 때가 있다. 두려움에 아무것도 하지 못하겠다면, 모든 일이 다 잘 풀렸을 때의 내 모습을 상상하는 것이 좋다. 자신의 미래 모습을 낙관적으로 그리는 일이 불안 완화에 도움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요크 세인트 존 대학 연구팀은 자신의 미래에 관한 상상이 현재의 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두 차례에 걸쳐 시행했다. 우선, 6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안과 자존감 수준을 평가하고, 자신이 두려워하는 자신의 미래 모습을 언어로 자세히 묘사해보도록 했다. 이후 불안 수준을 다시 한번 평가했다.
분석 결과, 자존감이 낮은 사람일수록 불안 수준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현재의 불안 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자신이 두려워하는 자신의 미래 모습을 생생히 묘사하는 편이었다. 연구팀은 이를 두고 자존감이 낮을수록 자신이 상상하는 ‘원치 않는 나의 미래 모습’이 더 생생해지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미래 모습을 묘사한 후에 불안도가 상승하는 모습도 보였다.
또 다른 실험에서는 반대로 자신이 미래에 되어 있을 만한 최상의 모습을 상상하도록 했다. 모든 일이 최대한 잘 풀려서, 원하는 목표를 달성한 모습을 글로 상세히 묘사하게 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오히려 불안 수준이 연구 시작 시기보다 낮아졌다.
연구팀은 “자신의 미래 모습을 긍정적으로 묘사하는 연습이 장기적 불안감 완화에도 도움이 되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며 “장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추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싸이콜로지컬 리포트(Psychological Reports)’에 게재됐다.
영국 요크 세인트 존 대학 연구팀은 자신의 미래에 관한 상상이 현재의 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두 차례에 걸쳐 시행했다. 우선, 6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안과 자존감 수준을 평가하고, 자신이 두려워하는 자신의 미래 모습을 언어로 자세히 묘사해보도록 했다. 이후 불안 수준을 다시 한번 평가했다.
분석 결과, 자존감이 낮은 사람일수록 불안 수준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현재의 불안 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자신이 두려워하는 자신의 미래 모습을 생생히 묘사하는 편이었다. 연구팀은 이를 두고 자존감이 낮을수록 자신이 상상하는 ‘원치 않는 나의 미래 모습’이 더 생생해지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미래 모습을 묘사한 후에 불안도가 상승하는 모습도 보였다.
또 다른 실험에서는 반대로 자신이 미래에 되어 있을 만한 최상의 모습을 상상하도록 했다. 모든 일이 최대한 잘 풀려서, 원하는 목표를 달성한 모습을 글로 상세히 묘사하게 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오히려 불안 수준이 연구 시작 시기보다 낮아졌다.
연구팀은 “자신의 미래 모습을 긍정적으로 묘사하는 연습이 장기적 불안감 완화에도 도움이 되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며 “장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추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싸이콜로지컬 리포트(Psychological Reports)’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