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중국 최초로 ‘냉동인간’이 된 여성의 남편이 새로운 연인을 만나 논란에 휩싸였다./사진=SCMP
중국 최초로 ‘냉동인간’이 된 여성의 남편이 새로운 연인을 만나 논란에 휩싸였다.

지난 15일(현지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스포츠 산업에 종사하는 구이쥔민(57)은 아내 잔원롄(당시 48세)이 2017년 폐암으로 시한부 선고를 받자 그녀를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훗날 암 치료법이 개발되면 아내를 되살릴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품고 산둥인펑생명과학연구소와 30년 계약을 체결했다. 2015년에 설립된 이 연구소는 당시 인간 냉동 보존 시험을 진행하며 초기 지원자들에게 무료 시술을 제공했다.


구이쥔민은 아내가 냉동된 뒤 최소 2년은 홀로 지내기로 결심했지만, 2020년 심각한 통풍 발작으로 생명을 위협받은 일을 겪은 후 생각이 바뀌었다. 그는 이틀 동안 움직이지 못하다가 문을 부수고 들어온 친척들에 의해 구조됐다. 구이쥔민은 “혼자 살다가 무슨 일이 생기면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며 “내가 집에서 죽어도 아무도 모를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잔원롄의 냉동 수술을 준비하는 장면과 구이쥔민 부부의 모습/사진=SCMP
이후 지인의 소개로 왕춘샤를 만나 연인이 됐다. 그는 왕춘샤가 아내처럼 자신을 세심하게 챙겨준다면서도 “아직 그녀가 제 마음속에 들어오지 않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녀가 아내를 대신할 수는 없다”며 “여전히 아내를 향한 감정을 정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또 새 연인과 결혼하면 중혼이 되는 것인지, 아내가 깨어나면 재산 문제는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된다고 토로했다. 현재 구이쥔민은 관상동맥 스텐트 수술을 받아 왕춘샤의 도움 없이는 길을 걷기조차 어려운 상태다.

과연 구이쥔민의 아내와 같은 ‘냉동인간’이 다시 깨어날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가능성은 여전히 ‘영하(sub-zero)’ 수준이다. 영국 카디프대 신경과학자 딘 버넷 박사는 BBC 사이언스 포커스 기고문을 통해 이같이 우려를 표했다. 우리 몸의 상당 부분은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물은 세포와 조직을 유지하는 생명 활동의 핵심이다. 하지만 살아있는 세포 안에 얼음이 생기면 조직이 심각하게 파괴된다. 동결보호제(cryoprotectants)를 사용하거나 빠르게 얼리면 세포 파괴를 줄일 수 있지만, 동결보호제를 많이 사용할수록 독성이 높아지고 생화학적 반응이 손상된다. 생명체가 크고 복잡할수록 ‘안전한 냉동’은 불가능에 가깝다. 무엇보다 인간의 몸은 결코 완전히 비활성 상태가 될 수 없다. 수많은 생화학 과정이 동시에 돌아가고 있는데, 냉동은 이 모든 시스템을 강제로 멈춘다.


많은 냉동인간 신청자들은 뇌나 머리만 보존한다. 미래 의학이 뇌를 깨울 수 있다면, 몸은 새로 만들어 붙일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 그러나 뇌야말로 냉동·해동 과정에 가장 취약한 기관이다. 뇌는 생존만으로도 체내 에너지의 4분의 1을 소모한다. 뇌의 혈류가 몇 분만 끊겨도 뇌졸중이 발생하는 이유다. 뇌세포(뉴런)는 구조가 정교하고 손상에 극도로 약하며, 손상 후 회복 능력도 거의 없다. 특히 기억과 정체성을 담는 것은 뉴런의 ‘수’가 아니라, 조 단위 연결망이 이루는 섬세한 구조다. 이 연결망은 냉동 과정에서 쉽게 파괴될 수 있다.

미래 기술이 이 연결을 다시 복원할 수 있더라도, 의사가 원래의 뉴런 위치와 연결을 어떻게 식별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냉동 전에 분자 수준 뇌 스캔을 하지 않는 한, 기억을 재구성하려는 시도는 ‘재만 보고 불타버린 책을 다시 쓰는 것’에 가깝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