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의 건강]

이미지
미스코리아 진 출신 방송인 김지연(47)이 건강 검진을 받고 체중 관리의 필요성을 느꼈다./사진=유튜브 ‘쥬비스다이어트’ 캡처
미스코리아 진 출신 방송인 김지연(47)이 건강 검진을 받고 체중 관리의 필요성을 느꼈다.

지난 17일 유튜브 채널 ‘쥬비스다이어트’에 김지연이 출연해 건강검진을 받았다. 의사는 김지연에게 “지방간으로 인한 간수치 상승, 당뇨병 진단, 고지혈증 진단, 심혈관계 질환 고위험 상태로 체중 감량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지연의 체중은 74.9kg, 내장지방은 정상 범위의 두 배 이상이었다. 그는 “잘못 살아온 것 같다”며 체중 감량을 결심했다. 실제로 체중과 내장지방 증가가 건강에 얼마나 치명적일까?

체중 증가는 간수치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이 병무청 징병검사 535만 건을 분석한 결과, 간수치가 높은 남성 중 80.8%가 과체중 또는 비만으로 확인됐다. 간수치가 높아지면 간세포 손상이 지속돼 지방간염을 거쳐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간 기능 저하로 인해 전신 대사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당뇨병 또한 체중 증가와 뗄 수 없는 질환이다. 체중 증가가 인슐린 저항성을 높여 2형 당뇨병 위험을 크게 올리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화여대 의과대 연구에 따르면, 30세 이후에 10kg 이상 체중이 증가하면 당뇨병 위험이 유의하게 커졌다. 당뇨병이 생기면 혈당이 지속적으로 높아져 전신의 혈관과 신경이 손상되고, 그 결과 심혈관 질환 위험도 크게 증가한다.

고지혈증도 마찬가지다. 대한비만학회의 빅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체중·허리둘레 모두 비만인 그룹은 정상군보다 고지혈증 위험이 2배가량 높았다. 심지어 내장지방이 많은 '올챙이형 비만' 그룹의 경우 정상인보다 당뇨병의 발병 위험도 2.1배에 달했다. 고지혈증이 생기면 혈액 속 지방이 혈관 벽에 플라크를 만들어 동맥경화증을 일으키며, 이로 인해 심뇌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