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들이 경험하는 일상생활을 아이들이 조금이라도 경험하게 해주고 싶다. 희귀난치성질환 환자와 부모들은 첨단재생의료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소아희귀난치안과질환협회 이주혁 대표는 지난 14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첨단재생의료 환자 치료기회 확대를 위한 정책·입법 과제’ 토론회에서 이 같이 말했다. 이번 행사는 첨단재생바이오법(첨생법) 시행 5년을 맞아, 그간의 성과를 되짚고 환자 중심의 치료 접근성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됐다.
첨단재생의료는 사람의 신체구조·기능을 재생·회복·형성하거나, 질병을 치료·예방하기 위해 인체 세포 등을 이용해 실시하는 치료 기술이다. 세포치료와 유전자치료·조직공학치료 등 첨단 바이오 기술이 융합된 형태로, 현재 치료법이 없는 희귀·난치질환 등에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 받는다. 다만, 국내에서는 제도와 예산이 따라오지 않아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주혁 대표는 “환자와 보호자들은 빨리 아이들에게 치료의 기회가 열렸으면 하는 간절한 마음”이라며 “지금은 치료 기술이 없다 보니, 첨단재생의료라는 희망에 기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전문가는 유전자·세포치료제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합리적 제도 개편과 민관 협력 기반의 혁신적 R&D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유전자치료제의 경우 환자 접근성과 안전 관리가 조화를 이뤄야 하며, 이는 첨단재생바이오법 취지와도 일치한다는 설명이다.
재생의료진흥재단 박소라 원장은 “기술 개발은 연구자와 개발자가 주도할 수 있지만, 연구 결과가 희귀질환 환자에게 적용되기까지는 높은 장벽이 존재한다. 기술 혁신에 맞춰 첨생법의 역동적 개정과 보강이 필요하다”며 “법이 기술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기술 혁신을 이끄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전자·세포치료제의 지속가능한 R&BD(연구·개발·사업화) 플랫폼 구축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유전자·세포치료제는 원천·공백기술 개발부터 전임상·임상과 사업화까지 전 주기가 유기적으로 연결돼야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규선 연구전략본부장은 “국내 기술과 산업이 고도화된 것에 비해 유전자·세포치료제 실증 기반이 부족해, 사업화 진입에 큰 제약이 되고 있다”며 “각 부처에서 추진하는 R&BD 관련 사업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연계·구축하면 연구 성과 또한 빠른 실증이 가능하다”고 했다.
소아희귀난치안과질환협회 이주혁 대표는 지난 14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첨단재생의료 환자 치료기회 확대를 위한 정책·입법 과제’ 토론회에서 이 같이 말했다. 이번 행사는 첨단재생바이오법(첨생법) 시행 5년을 맞아, 그간의 성과를 되짚고 환자 중심의 치료 접근성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됐다.
첨단재생의료는 사람의 신체구조·기능을 재생·회복·형성하거나, 질병을 치료·예방하기 위해 인체 세포 등을 이용해 실시하는 치료 기술이다. 세포치료와 유전자치료·조직공학치료 등 첨단 바이오 기술이 융합된 형태로, 현재 치료법이 없는 희귀·난치질환 등에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 받는다. 다만, 국내에서는 제도와 예산이 따라오지 않아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주혁 대표는 “환자와 보호자들은 빨리 아이들에게 치료의 기회가 열렸으면 하는 간절한 마음”이라며 “지금은 치료 기술이 없다 보니, 첨단재생의료라는 희망에 기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전문가는 유전자·세포치료제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합리적 제도 개편과 민관 협력 기반의 혁신적 R&D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유전자치료제의 경우 환자 접근성과 안전 관리가 조화를 이뤄야 하며, 이는 첨단재생바이오법 취지와도 일치한다는 설명이다.
재생의료진흥재단 박소라 원장은 “기술 개발은 연구자와 개발자가 주도할 수 있지만, 연구 결과가 희귀질환 환자에게 적용되기까지는 높은 장벽이 존재한다. 기술 혁신에 맞춰 첨생법의 역동적 개정과 보강이 필요하다”며 “법이 기술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기술 혁신을 이끄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전자·세포치료제의 지속가능한 R&BD(연구·개발·사업화) 플랫폼 구축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유전자·세포치료제는 원천·공백기술 개발부터 전임상·임상과 사업화까지 전 주기가 유기적으로 연결돼야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규선 연구전략본부장은 “국내 기술과 산업이 고도화된 것에 비해 유전자·세포치료제 실증 기반이 부족해, 사업화 진입에 큰 제약이 되고 있다”며 “각 부처에서 추진하는 R&BD 관련 사업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연계·구축하면 연구 성과 또한 빠른 실증이 가능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