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장정원 교수, 가톨릭대 의대 병리학교실 조미라 교수, 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이순규 교수, 성균관대 의대 임진영 교수./사진=서울성모병원 제공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장정원 교수와 가톨릭대 의대 병리학교실 조미라 교수 연구팀(공동 제1저자 인천성모병원 이순규·성균관대 의대 임진영 교수)이 간암 환자마다 면역세포 탈진 정도가 다르며, 탈진이 심할수록 특정 유전자 변이와 B형간염 바이러스 통합이 많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간암 환자별 면역 환경에 따른 맞춤형 치료 필요성을 보여주는 근거를 제시했다.

연구팀은 서울성모병원에서 간암 수술을 받은 환자 8명을 분석해 면역세포 탈진 정도에 따라 고탈진군(2명)과 저탈진군(6명)으로 분류했다. 그 결과, 탈진이 심한 환자는 면역세포의 비정상적 증식이 두드러지고, 면역 억제 신호를 전달하는 유전자 발현이 높아 암세포 공격 능력이 떨어졌다. 또한 고탈진군은 암 억제 유전자 ‘TP53’ 변이가, 저탈진군은 ‘TERT’ 변이가 두드러져 서로 다른 경로로 암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탈진군은 간 내 B형간염 바이러스 통합 정도가 뚜렷하게 높았다.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가 인간 유전자와 융합된 비정상 RNA가 다수 발견돼, 탈진이 심할수록 바이러스 통합이 활발해지는 악순환 구조를 보였다.


연구팀은 이후 B형간염 관련 간암 환자 106명을 추가 분석해 동일한 결과를 확인했다. 이순규 교수는 “같은 간암이라도 환자마다 종양 면역 환경과 유전자 변이가 다르다”고 말했다. 이어 장정원 교수는 “T세포 탈진은 면역항암제 효과를 저하하는 주요 요인으로, 환자별 탈진 상태 평가가 맞춤형 치료 전략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유럽간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JHEP 리포트(JHEP Reports)’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