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인플루엔자(독감) 환자가 지난해보다 세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보건당국은 최근 10년 사이 가장 심했던 수준의 독감 유행을 전망했다.
지난 3일 질병관리청은 의원급 의료기관 표본감시 결과, 올해 43주차(19월 19~25일)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이 지난해보다 3.5배 높다고 밝혔다. 외래환자 1000명당 13.6명 수준으로 집계됐다.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는 38도 이상의 발열과 함께 기침, 인후통 등 증상을 보이는 독감 의심 환자를 뜻한다.
연령별로는 7~12세(31.6명)가 가장 많았고, 이어 1~6세(25.8명), 0세(16.4명), 13~18세(15.8명), 19~49세(11.8명) 순으로 나타났다.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채취한 호흡기 검체에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률이 11.6%로, 직전 주보다 4.3%포인트 상승했다. 현재 유행 중인 바이러스는 A형(H3N2)으로, 치료제 내성에 영향을 주는 변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병원급 의료기관 221곳의 입원환자 감시에서도 43주차 기준 입원환자 수가 98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3명)보다 7.5배 늘었다. 질병청은 “작년 10월보다 환자가 조기에 많이 발생했고, 남반구에서 유행 상황을 고려할 때 이번 동절기(2025~2026년) 독감은 지난 10년간 가장 심했던 지난해 수준과 비슷하게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유행 기간도 더 길어질 수 있다”고 했다.
전 세계적으로 인플루엔자 활동은 낮은 수준이지만 일본, 홍콩, 태국, 중국 등 인접국에서는 지난해보다 일찍 유행이 시작됐다. 질병청 홍정익 감염병정책국장은 “이번 절기 인플루엔자 유행은 지난해보다 두 달가량 빠르게 시작됐다”며 “올겨울에도 대규모 유행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질병청은 65세 이상 어르신, 임신부, 생후 6개월~13세 어린이 등 고위험군에게 국가 예방접종 참여를 적극 권고했다. 지난달 31일 기준, 65세 이상 658만 명(60.5%), 어린이 189만 명(40.5%)이 백신 접종을 마쳤다.
한편, 올해 백신은 지난해 4가에서 3가로 변경됐다. WHO는 최근 B형 야마가타 독감 바이러스 발생이 줄어 항원 포함 필요가 없어졌다고 판단했다. 항원이 하나 줄었다고 불안해하는 경우가 있지만, 과학적으로 예방 효과는 충분하다. 백신의 면역원성 연구 결과 3가·4가 백신 간 예방 효과와 안전성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올겨울 인플루엔자가 크게 유행할 가능성이 크므로, 고위험군은 본격적인 유행 전에 반드시 접종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3일 질병관리청은 의원급 의료기관 표본감시 결과, 올해 43주차(19월 19~25일)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이 지난해보다 3.5배 높다고 밝혔다. 외래환자 1000명당 13.6명 수준으로 집계됐다.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는 38도 이상의 발열과 함께 기침, 인후통 등 증상을 보이는 독감 의심 환자를 뜻한다.
연령별로는 7~12세(31.6명)가 가장 많았고, 이어 1~6세(25.8명), 0세(16.4명), 13~18세(15.8명), 19~49세(11.8명) 순으로 나타났다.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채취한 호흡기 검체에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률이 11.6%로, 직전 주보다 4.3%포인트 상승했다. 현재 유행 중인 바이러스는 A형(H3N2)으로, 치료제 내성에 영향을 주는 변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병원급 의료기관 221곳의 입원환자 감시에서도 43주차 기준 입원환자 수가 98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3명)보다 7.5배 늘었다. 질병청은 “작년 10월보다 환자가 조기에 많이 발생했고, 남반구에서 유행 상황을 고려할 때 이번 동절기(2025~2026년) 독감은 지난 10년간 가장 심했던 지난해 수준과 비슷하게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유행 기간도 더 길어질 수 있다”고 했다.
전 세계적으로 인플루엔자 활동은 낮은 수준이지만 일본, 홍콩, 태국, 중국 등 인접국에서는 지난해보다 일찍 유행이 시작됐다. 질병청 홍정익 감염병정책국장은 “이번 절기 인플루엔자 유행은 지난해보다 두 달가량 빠르게 시작됐다”며 “올겨울에도 대규모 유행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질병청은 65세 이상 어르신, 임신부, 생후 6개월~13세 어린이 등 고위험군에게 국가 예방접종 참여를 적극 권고했다. 지난달 31일 기준, 65세 이상 658만 명(60.5%), 어린이 189만 명(40.5%)이 백신 접종을 마쳤다.
한편, 올해 백신은 지난해 4가에서 3가로 변경됐다. WHO는 최근 B형 야마가타 독감 바이러스 발생이 줄어 항원 포함 필요가 없어졌다고 판단했다. 항원이 하나 줄었다고 불안해하는 경우가 있지만, 과학적으로 예방 효과는 충분하다. 백신의 면역원성 연구 결과 3가·4가 백신 간 예방 효과와 안전성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올겨울 인플루엔자가 크게 유행할 가능성이 크므로, 고위험군은 본격적인 유행 전에 반드시 접종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