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의 장 속에 서식하는 세균이 훗날 우울증이나 불안 같은 정서적 문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UCLA(캘리포니아대 로스앤젤레스) 보건의료학 연구팀은 아기의 초기 장내 미생물 구성과 뇌의 감정 관련 신경망 연결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싱가포르에서 진행된 장기 추적 연구 데이터를 활용했다. 이 연구는 출생부터 성장까지 다양한 건강 지표를 추적한 것으로, UCLA 연구팀은 그중 55명의 어린이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아이들이 2세일 때 채취한 대변 샘플로 장내 세균 구성을 파악했고, 6세 때 촬영한 뇌의 휴식 상태 기능적 MRI를 통해 감정 관련 신경망의 연결성을 분석했다. 이후 7세 반 무렵 보호자가 보고한 아이의 우울·불안 등의 행동 문제를 비교했다.
그 결과, 클로스트리디알레스 계열과 라크노스피라세이 과 세균이 많이 존재했던 아이일수록 중기 아동기(6~8세)에 우울감이나 불안 등 ‘내재화 증상’을 보일 가능성이 높았다. 이 관계는 세균이 직접 작용한 것이 아니라, 뇌의 감정 관련 네트워크 간 연결성 차이를 매개로 나타났다. 즉, 초기 장내 미생물 환경이 감정 조절과 관련된 뇌 회로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구 저자인 UCLA 심리학과 브리짓 캘러핸 교수는 “클로스트리디알레스와 라크노스피라세이 계열 세균은 성인에서도 스트레스 반응 및 우울증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돼 왔다”며 “일부 균주는 스트레스 요인에 더 민감할 수 있어, 성장 후 불안·우울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유아기의 장내 세균이 이후 정서적 건강과 관련된 뇌 회로를 프로그래밍할 가능성이 있다”며 “우울과 불안은 아동기 이후 청소년기, 성인기까지 이어질 수 있어 초기 개입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기존 연구는 주로 영아나 유아를 대상으로 장내 미생물이 운동·언어·학습 등 초기 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다뤘다. 반면 이번 연구는 정신건강 측면에서 '장-뇌 연결축'이 작동하는 시점을 아동기까지 확장해 관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팀은 향후 이 연관성이 인과적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실험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연구팀은 “어떤 세균 종이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는지를 규명하면, 프로바이오틱스나 식단 조절을 통한 장내 환경 개선 같은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정신건강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최근 게재됐다.
미국 UCLA(캘리포니아대 로스앤젤레스) 보건의료학 연구팀은 아기의 초기 장내 미생물 구성과 뇌의 감정 관련 신경망 연결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싱가포르에서 진행된 장기 추적 연구 데이터를 활용했다. 이 연구는 출생부터 성장까지 다양한 건강 지표를 추적한 것으로, UCLA 연구팀은 그중 55명의 어린이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아이들이 2세일 때 채취한 대변 샘플로 장내 세균 구성을 파악했고, 6세 때 촬영한 뇌의 휴식 상태 기능적 MRI를 통해 감정 관련 신경망의 연결성을 분석했다. 이후 7세 반 무렵 보호자가 보고한 아이의 우울·불안 등의 행동 문제를 비교했다.
그 결과, 클로스트리디알레스 계열과 라크노스피라세이 과 세균이 많이 존재했던 아이일수록 중기 아동기(6~8세)에 우울감이나 불안 등 ‘내재화 증상’을 보일 가능성이 높았다. 이 관계는 세균이 직접 작용한 것이 아니라, 뇌의 감정 관련 네트워크 간 연결성 차이를 매개로 나타났다. 즉, 초기 장내 미생물 환경이 감정 조절과 관련된 뇌 회로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구 저자인 UCLA 심리학과 브리짓 캘러핸 교수는 “클로스트리디알레스와 라크노스피라세이 계열 세균은 성인에서도 스트레스 반응 및 우울증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돼 왔다”며 “일부 균주는 스트레스 요인에 더 민감할 수 있어, 성장 후 불안·우울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유아기의 장내 세균이 이후 정서적 건강과 관련된 뇌 회로를 프로그래밍할 가능성이 있다”며 “우울과 불안은 아동기 이후 청소년기, 성인기까지 이어질 수 있어 초기 개입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기존 연구는 주로 영아나 유아를 대상으로 장내 미생물이 운동·언어·학습 등 초기 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다뤘다. 반면 이번 연구는 정신건강 측면에서 '장-뇌 연결축'이 작동하는 시점을 아동기까지 확장해 관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팀은 향후 이 연관성이 인과적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실험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연구팀은 “어떤 세균 종이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는지를 규명하면, 프로바이오틱스나 식단 조절을 통한 장내 환경 개선 같은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정신건강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