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만치료제 ‘위고비’ 임상시험에서 여성 참여자가 남성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남성 비만 유병률이 훨씬 높음에도 임상이 여성 중심으로 진행돼 성별 불균형과 오남용 관리 필요성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1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가 시행한 위고비 3상 임상 1단계 투여군 1306명 중 여성 비율은 73.1%에 달했다. 평균 연령은 46세, 평균 체중은 105.4㎏, 평균 체질량지수(BMI)는 37.8㎏/㎡였다.
반면 질병관리청 ‘202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같은 해 기준 남성 비만 유병률은 48.8%로, 여성(26.2%)보다 약 두 배 높았다. 이 의원은 “임상시험이 실제 비만 인구 구성과 괴리된 집단을 중심으로 이뤄져, 연구 결과의 대표성이 낮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또 위고비가 BMI 30㎏/㎡ 미만인 사람에게 처방되거나, 온라인 불법 거래를 통해 남용되는 점을 문제로 꼽았다. 식약처 자료에 따르면 비만치료제 불법 판매·광고 적발 건수는 2023년 103건에서 2024년 522건으로 급증해 1년 새 407% 증가했다.
위고비 사용 후 이상사례 보고도 빠르게 늘고 있다. 식약처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6월까지 위고비 관련 이상사례는 총 270건으로 확인됐다. 위고비는 사용 초기에 메스꺼움, 구토, 설사, 변비, 복통 등 위장관계 증상이 흔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두통·피로·어지럼증·심박수 증가·담낭염·급성 췌장염 등의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장기간 사용할 경우 근육량 감소나 영양 불균형이 생길 가능성도 있어, 의료계에서는 반드시 전문의의 진단과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 의원은 “위고비, 삭센다, 마운자로 등은 비만 환자를 위한 치료제로 사용돼야 한다”며 “병의원 처방 과정에서 제약사가 충분한 사용 매뉴얼을 제공하고, 식약처는 제약업체에 대한 약사감시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1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가 시행한 위고비 3상 임상 1단계 투여군 1306명 중 여성 비율은 73.1%에 달했다. 평균 연령은 46세, 평균 체중은 105.4㎏, 평균 체질량지수(BMI)는 37.8㎏/㎡였다.
반면 질병관리청 ‘202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같은 해 기준 남성 비만 유병률은 48.8%로, 여성(26.2%)보다 약 두 배 높았다. 이 의원은 “임상시험이 실제 비만 인구 구성과 괴리된 집단을 중심으로 이뤄져, 연구 결과의 대표성이 낮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또 위고비가 BMI 30㎏/㎡ 미만인 사람에게 처방되거나, 온라인 불법 거래를 통해 남용되는 점을 문제로 꼽았다. 식약처 자료에 따르면 비만치료제 불법 판매·광고 적발 건수는 2023년 103건에서 2024년 522건으로 급증해 1년 새 407% 증가했다.
위고비 사용 후 이상사례 보고도 빠르게 늘고 있다. 식약처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6월까지 위고비 관련 이상사례는 총 270건으로 확인됐다. 위고비는 사용 초기에 메스꺼움, 구토, 설사, 변비, 복통 등 위장관계 증상이 흔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두통·피로·어지럼증·심박수 증가·담낭염·급성 췌장염 등의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장기간 사용할 경우 근육량 감소나 영양 불균형이 생길 가능성도 있어, 의료계에서는 반드시 전문의의 진단과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 의원은 “위고비, 삭센다, 마운자로 등은 비만 환자를 위한 치료제로 사용돼야 한다”며 “병의원 처방 과정에서 제약사가 충분한 사용 매뉴얼을 제공하고, 식약처는 제약업체에 대한 약사감시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