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편이 무정자증임에도 아내가 임신했다는 사연이 전해졌다.
지난 9월 30일 방송된 TV조선 예능 프로그램 ‘우리 아기가 또 태어났어요’에서는 무정자증 판정을 받았음에도 넷째를 임신한 부부의 이야기가 소개됐다. 이날 사연자 남편은 “18년 만에 막둥이를 임신한 상황”이라며 “14년 전 정관수술을 했는데도 임신이 돼서 확인차 병원에 갔더니 정관수술에는 문제가 없다고 했다”고 말했다. 임신 38주 차인 사연자의 아내는 “의사도 만약 임신이 맞다면 내가 바람피운 것이라고 했다”며 “정관수술을 하고 얼마 안 됐으면 임신이 될 수도 있다고 하는데 그러기엔 세월이 너무 많이 흘렀다”고 말했다. 이 부부의 경우처럼 무정자증 상태에서도 임신할 수 있을까?
◇정관수술 성공해도 정자 배출될 수 있어
사연 속 남성이 겪은 ‘무정자증’은 정액 검사에서 정자가 발견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정상적인 정자 수는 정액 1mL당 약 6000만 개이며, 100만 개 이하면 무정자증으로 판단한다. 무정자증은 정자 생산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아니다. 단지 정액 속에서 정자가 보이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무정자증은 고환 조직검사를 통해 폐쇄성 무정자증과 비폐쇄성 무정자증으로 나뉜다. 고환에서 정자는 생성되지만, 배출 통로가 막힌 경우를 폐쇄성 무정자증이라고 한다. 반면, 비폐쇄성 무정자증은 고환 기능이 떨어져 정자가 거의 생성되지 않거나 극소량만 만들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사연 속 남성과 같이 정관수술로 인한 무정자증은 인위적으로 발생한 폐쇄성 무정자증에 해당한다.
하지만 정관수술이 성공적으로 진행됐더라도 정자가 배출될 가능성은 남아 있다. 수술 후 시간이 지나면서 인체의 복원력에 의해 끊겼던 정관이 다시 연결돼, 정자가 배출 통로를 확보하는 경우가 드물게 발생한다. 대부분 수술 후 몇 년 안에 나타나지만, 사연처럼 10년이 넘은 뒤에도 아주 예외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정자 찾아내 인공적으로 임신 성공하기도
무정자증은 원인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다. 폐쇄성 무정자증은 정로 폐쇄(정자가 이동하는 통로가 막히는 현상)의 수술적 개통을 통해서 치료한다. 비폐쇄성 무정자증은 고환 기능을 향상을 목표로 약물 치료를 진행한다. 그러나 효과가 없다면 두 경우 모두 ‘고환 내 정자 채취술(TESE)’을 시도해 볼 수 있다. 고환 내 정자 채취술은 고환의 조직을 추출해 정자를 고배율 현미경으로 찾아 인공적으로 임신시키는 방법이다. 대구코넬비뇨기과 이영진 원장은 “고환 내 정자 채취술은 무정자증을 치료하는 마지막 치료법”이라며 “비폐쇄성 무정자증의 경우 극한의 확률이지만, 정자 한두 마리를 찾아 인공수정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9월 30일 방송된 TV조선 예능 프로그램 ‘우리 아기가 또 태어났어요’에서는 무정자증 판정을 받았음에도 넷째를 임신한 부부의 이야기가 소개됐다. 이날 사연자 남편은 “18년 만에 막둥이를 임신한 상황”이라며 “14년 전 정관수술을 했는데도 임신이 돼서 확인차 병원에 갔더니 정관수술에는 문제가 없다고 했다”고 말했다. 임신 38주 차인 사연자의 아내는 “의사도 만약 임신이 맞다면 내가 바람피운 것이라고 했다”며 “정관수술을 하고 얼마 안 됐으면 임신이 될 수도 있다고 하는데 그러기엔 세월이 너무 많이 흘렀다”고 말했다. 이 부부의 경우처럼 무정자증 상태에서도 임신할 수 있을까?
◇정관수술 성공해도 정자 배출될 수 있어
사연 속 남성이 겪은 ‘무정자증’은 정액 검사에서 정자가 발견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정상적인 정자 수는 정액 1mL당 약 6000만 개이며, 100만 개 이하면 무정자증으로 판단한다. 무정자증은 정자 생산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아니다. 단지 정액 속에서 정자가 보이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무정자증은 고환 조직검사를 통해 폐쇄성 무정자증과 비폐쇄성 무정자증으로 나뉜다. 고환에서 정자는 생성되지만, 배출 통로가 막힌 경우를 폐쇄성 무정자증이라고 한다. 반면, 비폐쇄성 무정자증은 고환 기능이 떨어져 정자가 거의 생성되지 않거나 극소량만 만들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사연 속 남성과 같이 정관수술로 인한 무정자증은 인위적으로 발생한 폐쇄성 무정자증에 해당한다.
하지만 정관수술이 성공적으로 진행됐더라도 정자가 배출될 가능성은 남아 있다. 수술 후 시간이 지나면서 인체의 복원력에 의해 끊겼던 정관이 다시 연결돼, 정자가 배출 통로를 확보하는 경우가 드물게 발생한다. 대부분 수술 후 몇 년 안에 나타나지만, 사연처럼 10년이 넘은 뒤에도 아주 예외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정자 찾아내 인공적으로 임신 성공하기도
무정자증은 원인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다. 폐쇄성 무정자증은 정로 폐쇄(정자가 이동하는 통로가 막히는 현상)의 수술적 개통을 통해서 치료한다. 비폐쇄성 무정자증은 고환 기능을 향상을 목표로 약물 치료를 진행한다. 그러나 효과가 없다면 두 경우 모두 ‘고환 내 정자 채취술(TESE)’을 시도해 볼 수 있다. 고환 내 정자 채취술은 고환의 조직을 추출해 정자를 고배율 현미경으로 찾아 인공적으로 임신시키는 방법이다. 대구코넬비뇨기과 이영진 원장은 “고환 내 정자 채취술은 무정자증을 치료하는 마지막 치료법”이라며 “비폐쇄성 무정자증의 경우 극한의 확률이지만, 정자 한두 마리를 찾아 인공수정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