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건강검진 수검자 11만144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생충 검사 결과, 양성자는 총 540명(0.48%)인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건강관리협회 통계). 기생충에 감염된 이들 중 장흡충 양성자는 264명(48.9%)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간흡충 190명(35.2%), 편충 78명(14.4%)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수치는 대변검사로 진단이 되는 경우만 통계화된 것이라서, 대변검사로 진단이 안 되는 기생충 감염까지 합하면 감염률이 높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본다. 주로 감염되는 기생충, 어떻게 예방해야 하는지 알아본다.
장흡충과 간흡충은 주로 민물 생선을 익히지 않고 먹으면 감염된다. 상복부 통증·발열·황달·설사 등을 겪으며, 심하면 담석·화농성 담낭염·담도암 등에 걸릴 수 있다. 담도암의 10%는 간흡충이 원인이라는 통계도 있다. 강 유역(낙동강, 섬진강, 영산강, 금강) 지역에서 유행하며, 2024년도 건협 지역별 양성률도 경상도 지역(1.03%), 부산(0.61%), 울산(0.58%), 전라도 지역(0.5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편충은 주로 소장에서 서식하며, 음식물이나 물을 통해 감염된다. 감염되면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다가 개체 수가 늘고 커지면 장을 자극해 복통과 설사를 유발한다.
전문가들은 이 외에도, 우리나라 사람 10명 중 1명은 개회충에 감염된 적이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개회충에 감염되면 대부분 가벼운 몸살을 앓고 낫는다. 1% 정도는 개회충이 혈액을 타고 눈이나 뇌로 옮겨가서 눈이 침침해지거나 눈에 부유물이 생기고, 심하면 백내장·척수염·뇌막염 등을 겪기도 한다. 동물의 생간을 먹고 몸살 기운이 생겼다면 개회충에 감염된 것일 수 있다. 이때는 병원에서 혈액검사를 받은 뒤 2주간 약을 복용해야 한다.
유아의 경우 요충을 조심해야 한다. 취학 전 아동의 10% 정도가 감염되는 요충은 항문 주위가 가려운 게 특징이다. 심하면 요충이 질·난소 등으로 들어가 염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아이들의 수가 많은 유치원일수록 요충 감염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단체생활을 할 때 손을 잘 씻고 위생관리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기생충은 주로 음식을 충분히 안 익혀 먹었을 때 감염된다. 일부 기생충의 경우 약국에서 구충제를 사 먹더라도 효과를 보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므로, 평소 음식을 잘 익혀 먹고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는 게 기본이다.
하지만 이러한 수치는 대변검사로 진단이 되는 경우만 통계화된 것이라서, 대변검사로 진단이 안 되는 기생충 감염까지 합하면 감염률이 높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본다. 주로 감염되는 기생충, 어떻게 예방해야 하는지 알아본다.
장흡충과 간흡충은 주로 민물 생선을 익히지 않고 먹으면 감염된다. 상복부 통증·발열·황달·설사 등을 겪으며, 심하면 담석·화농성 담낭염·담도암 등에 걸릴 수 있다. 담도암의 10%는 간흡충이 원인이라는 통계도 있다. 강 유역(낙동강, 섬진강, 영산강, 금강) 지역에서 유행하며, 2024년도 건협 지역별 양성률도 경상도 지역(1.03%), 부산(0.61%), 울산(0.58%), 전라도 지역(0.5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편충은 주로 소장에서 서식하며, 음식물이나 물을 통해 감염된다. 감염되면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다가 개체 수가 늘고 커지면 장을 자극해 복통과 설사를 유발한다.
전문가들은 이 외에도, 우리나라 사람 10명 중 1명은 개회충에 감염된 적이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개회충에 감염되면 대부분 가벼운 몸살을 앓고 낫는다. 1% 정도는 개회충이 혈액을 타고 눈이나 뇌로 옮겨가서 눈이 침침해지거나 눈에 부유물이 생기고, 심하면 백내장·척수염·뇌막염 등을 겪기도 한다. 동물의 생간을 먹고 몸살 기운이 생겼다면 개회충에 감염된 것일 수 있다. 이때는 병원에서 혈액검사를 받은 뒤 2주간 약을 복용해야 한다.
유아의 경우 요충을 조심해야 한다. 취학 전 아동의 10% 정도가 감염되는 요충은 항문 주위가 가려운 게 특징이다. 심하면 요충이 질·난소 등으로 들어가 염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아이들의 수가 많은 유치원일수록 요충 감염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단체생활을 할 때 손을 잘 씻고 위생관리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기생충은 주로 음식을 충분히 안 익혀 먹었을 때 감염된다. 일부 기생충의 경우 약국에서 구충제를 사 먹더라도 효과를 보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므로, 평소 음식을 잘 익혀 먹고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는 게 기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