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속 대응을 위해 도입된 ‘119 안심콜’ 서비스가 도입 17년이 지나도록 가입률이 1%대에 머물러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이 최근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 119안심콜 누적 가입자는 총 102만3138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1.9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국민 50명 중 단 1명만 가입한 것에 그치는 수준이다.
119 안심콜 서비스는 위급상황 발생 시 사전에 등록된 요구호자의 병력과 보호자 정보를 확인해 신속한 응급처치와 병원 이송을 지원하는 대국민 서비스로 지난 2008년 도입됐다. 그러나 17년이 지난 지금도 사용률이 매우 낮은 것이다. 특히 ▲울산(1.17%) ▲인천(1.48%) ▲경기(1.53%) ▲대전(1.59%) ▲부산(1.67%) ▲세종(1.77%) ▲광주(1.90%) ▲경북(1.95%) 등 8개 지역은 전국 평균치(1.99%)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전남은 4.33%로 가장 높아, 최저 지역인 울산과 3.16%p 격차를 보였다.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 현황 역시 저조하다. 2020년 31만1702건에서 2024년 52만4998건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지만, 지난해 119구급차 전체 출동 건수(332만4287건) 대비 이용률은 15.79%로 저조한 상황이다. 올해 7월까지도 14만7889건으로 집계돼 전년보다 더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병도 의원은 “구급차 10대 중 8대 이상이 환자 정보를 확인하지 못한 채 출동하는 현실이다”라며 “특히 의료 취약계층에게는 119안심콜이 생명을 지키는 안전망 역할을 하는 만큼 소방청은 가입률 증대 대책을 마련한다”고 말했다.
한편, 119 안심콜은 간단한 가입 절차만 거치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본인은 물론 보호자나 자녀 등 대리인도 등록할 수 있다. 안심콜 가입자가 119에 신고하면 119상황실 접수대 화면에 신고자의 건강 정보, 복용 중인 약물, 보호자 연락처 등 미리 등록한 정보가 자동으로 표출되게 하는 서비스다. 신고 접수 요원은 출동지령서를 통해 119구급대에 관련 내용을 즉시 전달해 출동 구급대원이 환자 상태에 맞는 응급처치를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이 최근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 119안심콜 누적 가입자는 총 102만3138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1.9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국민 50명 중 단 1명만 가입한 것에 그치는 수준이다.
119 안심콜 서비스는 위급상황 발생 시 사전에 등록된 요구호자의 병력과 보호자 정보를 확인해 신속한 응급처치와 병원 이송을 지원하는 대국민 서비스로 지난 2008년 도입됐다. 그러나 17년이 지난 지금도 사용률이 매우 낮은 것이다. 특히 ▲울산(1.17%) ▲인천(1.48%) ▲경기(1.53%) ▲대전(1.59%) ▲부산(1.67%) ▲세종(1.77%) ▲광주(1.90%) ▲경북(1.95%) 등 8개 지역은 전국 평균치(1.99%)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전남은 4.33%로 가장 높아, 최저 지역인 울산과 3.16%p 격차를 보였다.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 현황 역시 저조하다. 2020년 31만1702건에서 2024년 52만4998건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지만, 지난해 119구급차 전체 출동 건수(332만4287건) 대비 이용률은 15.79%로 저조한 상황이다. 올해 7월까지도 14만7889건으로 집계돼 전년보다 더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병도 의원은 “구급차 10대 중 8대 이상이 환자 정보를 확인하지 못한 채 출동하는 현실이다”라며 “특히 의료 취약계층에게는 119안심콜이 생명을 지키는 안전망 역할을 하는 만큼 소방청은 가입률 증대 대책을 마련한다”고 말했다.
한편, 119 안심콜은 간단한 가입 절차만 거치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본인은 물론 보호자나 자녀 등 대리인도 등록할 수 있다. 안심콜 가입자가 119에 신고하면 119상황실 접수대 화면에 신고자의 건강 정보, 복용 중인 약물, 보호자 연락처 등 미리 등록한 정보가 자동으로 표출되게 하는 서비스다. 신고 접수 요원은 출동지령서를 통해 119구급대에 관련 내용을 즉시 전달해 출동 구급대원이 환자 상태에 맞는 응급처치를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