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혈중 칼륨을 충분히 유지하면 심장병 환자의 입원과 사망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혈중 칼륨을 충분히 유지하면 심장병 환자의 입원과 사망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덴마크 코펜하겐대병원 헤닝 분가르드 교수 연구팀은 심장병 환자 1200명을 대상으로 칼륨 수치가 건강에 어떤 차이를 만드는지 살펴봤다. 이들은 모두 삽입형 제세동기(심장에 전기를 흘려 부정맥을 막는 의료기기)를 착용한 상태였고 혈중 칼륨이 낮았다. 환자들은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 한쪽은 칼륨 보충제와 약물, 식이 지도를 통해 칼륨 수치를 정상 상위 범위(4.5~5.0mmol/L)로 유지했고, 다른 쪽은 기존 치료만 받았다. 이후 약 3년 이상 추적 관찰하며 부정맥, 제세동기 작동, 심부전 입원, 사망 등 사건 발생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칼륨을 적극적으로 관리한 그룹은 표준 치료 그룹보다 부정맥, 심부전 입원, 사망 위험이 24% 낮았다. 두 그룹 모두에서 고칼륨혈증이나 저칼륨혈증 같은 부작용으로 입원하는 경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심장질환 환자에서 칼륨을 적극적으로 조절하는 치료가 중증 심혈관 사건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혈액 속 칼륨 농도가 심장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심장질환 환자 관리에서 식습관과 함께 칼륨 보충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균형 잡힌 식단으로 칼륨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심장 건강에 도움이 된다“ 했다. 다만 “이번 연구는 심장병 환자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일반인에게 바로 적용하기는 어렵다”며 “더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칼륨은 바나나, 아보카도, 시금치, 감자 등 흔히 먹는 식품에 풍부하다. 성인 하루 권장 섭취량은 약 3500mg으로, 과일·채소·콩류 같은 자연식품을 통해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뉴잉글랜드의학저널(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지난 8월 29일 게재됐다.